수몰과 이주를 위한 보상이 이뤄질 당시 주민들이 원하는 이주형태는 자유이주가 48%, 집단이주가 52%로 집단이주를 선호하는 이들이 많았다.
특히 집단이주를 원하는 수몰민들의 경우 도내에 머물고 싶어 하는 이들이 97%로 압도적이었다. 반면 자유이주를 원하는 수몰민들은 도외로 이주하겠다는 이들이 47.7%로 많아 대조적인 양상을 보였다.
수몰민들을 위한 이주단지는 도내 곳곳에 조성됐다. 완주군 봉동읍에는 286세대 규모의 시범 이주단지가 조성됐다. 전주지역에도 호성동에 408세대 규모의 이주단지 조성계획이 진행됐다.
반면 고향인 진안군에 머물고자 하는 수몰민들도 많았다. 이에 따라 안천면, 상전면, 정천면, 주천면 등 곳곳에 소규모 집단 이주단지가 조성되고 수몰민들의 이주가 시작됐다.
수몰민들의 이주는 보상문제로 인해 터덕거리기도 했지만 1995년 263세대, 1996년 613세대, 1997년 37세대, 1998년 400세대, 1999년 465세대 등 연차적으로 꾸준히 진행돼 왔다.
초창기에 집단 이주한 수몰민들은 지역별 네트워크를 만들어 소통해 왔지만 10년이 지남에 따라 수몰민 사이의 네트워크는 많이 약화된 상태다. 각 읍·면 별 수몰민들이 주체가 돼 망향제를 치르고 있지만 이마저 해마다 참가인원이 줄고 있다. 또 수물민들 간의 단체가 구성돼 있지 않은 채 각 읍·면으로 이주한 주민들이 행사를 주도적으로 준비하고 있다.
진안군도 수몰민 네트워크 등에 대한 지원은 1년에 한 차례 있는 망향제에 대한 지원에 그쳐 이들의 네트워크 등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진안군청 관계자는 "수몰민에 대한 지원은 관내 이주단지에 시설사업을 진행하는 등 매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며 "수몰민들이 주축이 된 협회 등은 따로 없어 이들에 대한 지원은 따로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