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까지 근로자 30% 자택·현장서 근무

영상회의 등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유연 근무형태를 통해 오는 2015년까지 공무원 및 근로자의 30%가 자택 및 원격사무실, 현장 등에서 일하는 '스마트워크' 활성화 대책이 추진된다.

 

 이명박 대통령은 20일 오전 청와대에서 국가정보화전략위원 및 민간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를 열어 이같은 내용이 담긴 '스마트워크 활성화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스마트워크는 영상회의 등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을 이용해 시간·장소의 제약없이 업무를 수행하는 유연한 근무 형태로, 자택 및 인근 원격사무실에서 근무하거나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현장에서 근무하는 것을 말한다.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해 대도시 외곽에 공공기관 등 유휴 시설을 활용, 영상회의 등 첨단 원격 업무시스템을 갖춘 스마트워크센터가 2015년까지 공공형 50곳, 민간형 450곳으로 확대된다.

 

 또 대단지 아파트 건축때 스마트워크센터를 주민공동시설에 포함하고,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한 육아시설 설치 지원, 교통유발 부담금 감면 등 인센티브를 제공해 민간 부문의 자율적인 동참도 유도한다.

 

 이와 함께 스마트 인프라 고도화를 병행 추진하기 위해 올해 와이파이(Wi-Fi) 이용 지역을 5만3000곳으로 확대하고, 2012년까지 와이브로 서비스 범위를 84개 시로 확대한다.

 

 2015년까지 현재보다 10배 빠른 속도의 기가(Giga) 인터넷 서비스를 전체의 20%로 확대하는 등 유·무선망 인프라 고도화도 추진된다.

 

 정부는 이같은 스마트워크 활성화 전략이 계획대로 추진되면 수도권은 원격근무 하루당 90여분의 출퇴근 시간이 절감되고, 사무직 860만 명이 동참할 경우 연간 111만t의 탄소 배출량과 1조6000억원의 교통 비용이 감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KT 직원 같은 경우 반은 출근 안 해도 일을 더 잘할 수 있는 것 아닌가 생각한다. 출퇴근 차가 없어지니까 교통량이 줄어 CO2가 줄어들고, 사무실이 적어도 되고, 한 곳에 다 모여야 된다고 해서 건물 크게 짓고 할 필요도 없을 것 아닌가"라며 "여러 분야에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정부도 대혁신을 하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