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내 A초등학교 교장은 21일 "교육적인 체벌은 약간은 필요하다. 그러나 극소수의 감정을 조절하지 못하는 교사들로 인해 체벌을 전면 금지하는 것은 아이들을 방임하는 것이다"면서 "잘못을 저지르는 학생을 내버려두는 것이 교육은 아니다"고 강변했다.
B초등학교 교사는 "전주시내는 한 반에 35명의 학생을 교육시키는데 어느 한 학생이 교사의 말을 따르지 않고 수업을 방해하는 행동을 할 때 이 아이를 가만두면 많은 학생들이 피해를 보게 되고, 교수학습에도 방해가 된다"면서 "다른 학생의 피해를 줄이고, 교수학습 침해를 막기 위해 교육적 체벌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C중학교 교장도 "학교라는 공동체 내에는 다양한 학생들이 모여 있다. 그렇다 보니 학생들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체벌이 불가피한 경우가 많이 있다"면서 "사회적 공감대나 논의가 이뤄지지 않은 채 이뤄진 체벌금지는 옳지 않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전주시내 D중학교 교장은 "학교에서의 체벌은 학생으로서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을 했을 때 이뤄진다"면서도 "체벌을 해야 아이들이 자신의 잘못을 뉘우친다는 고정관념을 버려야 하며, 언어만으로도 아이들을 충분히 교육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전국 유·초·중·고등학교 교원 및 전문직 432명을 대상으로 체벌 전면금지 방침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82%인 350여명이 체벌 전면 금지에 반대한다고 응답했으며, 90%가 넘는 교원이 '교육적 목적의 체벌'이 필요하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