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노선 재정지원금·벽지노선 손실보상금·유가보조금·대폐차 등으로 한햇동안 20억원이상을 부안군으로부터 지원받고 있는 부안지역 농어촌버스업체에게 체질개선을 하라는 주문이 쏟아졌다.
부안군의회는 지난달 27일부터 31일까지 열린 임시회에서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의, 관내 농어촌버스업체의 적자보전을 위해 부안군이 편성한 예산 전액을 삭감해 예비비로 넘겼다.
부안군은 올해 당초 예산에 금일여객 <주> ·부안여객 <주> ·위도공영버스 등 관내 농어촌버스업체 재정지원금으로 24억8000만원을 확보했다. 지난해의 경우 16억2599만원을 지원했다. 주> 주>
이런 가운데 군은 관내 농어촌버스 적자노선 추정손실액이 보전비율이 타시·군에 비해 너무 낮아 버스업체가 정상적인 경영을 하기 어렵다는 민원을 제기하고 있음을 내세워 추경에 적자노선 재정지원금으로 1억2000만원을 추가 편성했었다.
그러나 군의원들은 추경심의과정에서 "일부 농어촌버스업계의 경영이 나빠진데는 부실경영에서 비롯된 점도 없지 않다"며 "막무가내로 자치단체에 의존하지 않고 자생능력을 키우는 버스업체들의 체질개선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버스업체가 달라는 대로 군민의 혈세를 지원하기보다 경영실태를 철저히 파악해야 한다"고 집행부에 요구했다.
이와함께 "최근 일부 버스업체 경영주가 바뀐 만큼 좀더 상황을 지켜본뒤 지원이 필요하다면 제2 추경이나 내년도 본예산에 반영할수 있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이밖에도 "운수업체 재정적자를 줄일수 있으려면 농어촌버스를 무조건 대형버스로 할 것이 아니라 서울 등 대도시 마을버스처럼 소형버스로 바꾸는 것도 적극 검토해볼만 하다"고 제시했다.
한편 23대의 농어촌버스를 보유한 금일여객은 부실경영 등에 따른 임금체불에 따른 노사갈등으로 지난 6월말 운행중단위기까지 몰렸다 가까스로 위기를 면했으며 7월 초순에는 경영주가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