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하는 것보다 낫다" "학부모 평가 축소"…교원평가제 관련 교육주체별 반응

시·도교육청에 일임 지역실정 맞게 진행을

교과부가 현행 교원평가의 현장 의견을 수렴하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5일 도교육청에서 연 '교원평가 모형개선을 위한 권역별 의견수렴 협의회'에서는 각 교육주체별로 다양한 쓴소리를 쏟아냈다. 특히 전북지역 참가자들의 경우 김승환 교육감의 코드에 맞는 인사들이 주로 참석해 교원평가 폐지 목소리가 컸다.

 

▲교사

 

전주 효정중학교 김동기 교사는 "교원평가가 교사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게 아니라 평가를 위한, 보여주기식 평가가 돼서는 안된다"며 "정부에서 일률적으로 시행할 것이 아니라 시도교육청에 일임해 지역에 맞게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남의 한 중학교 교사도 "교원평가는 분명히 의무가 아닌 권사항임에도 학교별로 학부모평가 등을 몇% 이상 받아야 한다는 의무가 있는 것 같다"며 "전체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할 것이 아니라 3학년 졸업생과 학부모 등으로 대상을 축소해서 진행하는 것이 좋겠다"고 제안했다.

 

▲학부모

 

고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유민자씨(전주시)는 "학생들이 감정적으로 교사를 평가하는 등 교원평가제를 악용하는 부작용도 있고, 학부모가 11명에 달하는 교과과목 교사를 평가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평가로 상처를 받은 교사가 어떻게 아이를 건강하게 가르칠 수 있을까하는 의구심이 든다"고 말하며 교원평가 폐지를 주장했다.

 

반면 전남의 한 학부모는 "현행 교원평가는 방법과 내용상 문제가 많은 건 사실이지만 현재 학교 실정으로는 봐서는 교원평가를 안하는 것보다 하는 것이 낫다는 의견이 훨씬 많다"며 제도 개선을 통한 교원평가제의 실시 필요성을 제기했다.

 

▲교육청

 

도교육청 중등인사담당 장학관 직무대리 이재송 장학사는 "교원평가가 필요하다면 법적 근거를 마련해 제도화한 뒤 평가 방법과 내용은 각 시도교육감에게 일임해야 한다"며 "교과부는 교사들의 연수를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