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에서 외모지상주의는 상식처럼 일상화되어 있습니다. 외모는 자신감과 출세, 심지어 재산축적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외모를 전혀 가꾸지 않는 것도 대인관계와 인격형성에 장애가 되지만, 외모를 너무 중시하며 외모 가꾸기에 몰입하는 현상은 개인과 사회, 물질과 정신에 큰 손실과 낭비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이번주에는 외모 지상주의에 대해 생각해봅시다.
▲ 외모지상주의, 루키즘(Lookism)의 의미를 정리해보세요.
▲ 외모는 개인의 능력일까요?
리즈 위더스푼 주연의 2001년 영화 "금발이 너무해"(legally blonde)를 보면, "외모에 대한 편견"을 경쾌한 방식으로 비틀어 놓았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외모지상주의, 또는 외모차별을 의미하는 루키즘(lookism)을 떠올릴 수 있습니다. "외모는 개인의 능력일까?"라는 물음에 대해 자신의 대답을 적어보세요.
▲ 외모지상주의의 원인을 분석해서 발표하고 서로 비교하세요.
▲ 몇 년전 「세상에 이런일이」라는 TV프로에 선풍기 아줌마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성형수술을 하기 전 모습은 비교적 괜찮은 얼굴이었던 것 같습니다. 성형수술을 처음 했던 것이 부작용으로 다시 수술을 하고 또 다른 부작용이 연쇄적으로 나타나거나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을 고치기 위해서 수 차례 성형수술을 하였는데 TV 방영 당시의 얼굴은 마치 선풍기처럼 둥글고 가운데가 오목하게 생겼습니다. <사진>사진>
①선풍기 아줌마가 나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를 상상하여 적어보세요.
②내가 선풍기 아줌마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를 적어보세요.
▲ 변하는 아름다움이 있고, 변하지 않는 아름다움이 있습니다. 예전에도 아름다웠고, 지금도 아름다운 것을 2가지만 찾아보세요. 또 전에는 아름다웠으나 지금은 추하게 보이는 것, 전에는 비난의 대상이었으나 지금은 감탄의 대상이 되는 것을 한 가지씩 찾아보세요.
▲ 친구나 선 후배 중에 외모를 제외하고 '저 사람 참 멋있다'는 느낌을 주는 사람을 소개하고 어떤 점이 그런 느낌을 주는지 설명하세요.
▲ 취업을 위해 대학생 구직자들이 성형수술, 치아교정 등 미용치료에 투자하는 비용이 평균 350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어요(2008-10-10 스포츠 한국). 이처럼 취업하는데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분위기에 대한 친구들의 의견을 모아보세요.
▲ 획일적인 마네킹 미모가 아니라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해서 찾아낼 수 있는 '진정한 아름다움'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세요.
▲ 얼굴이 잘 생긴 것은 몸이 잘 생긴 것 보다 못하고 몸이 잘 생겨도 심성이 좋은 것보다는 못하다'라는 백범일지에 나오는 말의 의미를 새겨보세요.
▲ 다음은 김아중이 주인공인 영화 '미녀는 괴로워'의 줄거리입니다. 이 영화에 대한 소감을 서로 나눠보세요.
뚱뚱한 여주인공 한나가 성형수술을 통해 예쁘고 날씬한 제니로 변신한 전과 후의 이야기가 주된 스토리이다. 성형전 못생긴 한나는 아무리 잘해도 무시당하고 욕을 먹지만 성형후 예뻐진 한나, 즉 제니는 어떤 잘못에도 비난받지 않고 격려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