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농업기술원(원장 조영철)에 따르면 새만금간척지를 조기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제염 방법 개발이 시급한 시점에서 민물을 이용한 물가두기와 물빼기를 반복적으로 실시할 경우 간척지 토양 표면 및 식물의 근권부에 존재하고 있는 염분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수 있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마침내 밝혀졌다.
제염에 가장 좋은 방법으로 꼽히고 있는 이번 연구 결과는 정상적인 작물생육이 가능해지는 간척지 토양의 숙전화 시기를 보다 앞당길수 있을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작물의 염해는 바닷물의 유입과 토양수분의 증발에 따른 염류농도의 증가 또는 가뭄에 의해 작물의 생육부위인 근권 부위까지 염 농도가 높은 지하수가 삼투압을 따라 이동하는 등의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는데 잎의 수분함량이 감소하고 엽록소의 감퇴 또는 소실 그리고 효소의 활력저하로 광합성작용이 저하되어 수량이 급격히 줄어들거나 심하면 적갈색으로 변하여 말라죽게 된다.
특히 간척지에서는 작물재배의 주요 제한요인이 염분으로 작물이 정상 생육 할 수 있는 한계염분 농도가 작물의 종류 및 생육시기에 따라 약간씩 다르기는 하나 대체로 0.3% 이하이면 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어 가능한 빠른 시한 내에 작물재배 가능 농도인 0.3% 이하로 염류농도를 낮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번에 밝혀진 새로운 방법으로 민물을 이용하여 반복적인 물가두기와 물빼기를 실시했을 경우 1.2%에 이르던 토양 염 농도가 제염 1년경과 후에는 작물재배 가능 염 농도인 0.28 ~ 0.38% 범위까지 크게 떨어졌다.
이같은 제염효과는 물담기와 물빼기를 4개월 동안 2주 간격으로 총 6회 반복 실시하여 얻어진 결과인데 제염 전 최대 1%였던 포장 염 농도가 제염 2회 실시 단계인 7월에는 0.68%로 낮아졌고 9월에는 0.32% 까지 떨어져서 환수제염 방식이 새만금 간척지 토양의 제염에 있어서는 매우 효율적인 제염 방식임을 확인할수 있었다.
또한 이렇게 초기 제염작업을 마치고 화훼작물을 경작한 2년차와 3년차 포장의 토양 염 농도가 0.32%와 0.2%로 작물 재배 가능 토양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어 초기에 충실한 제염작업이 이루어진다면 이후 추가적인 노력이 많이 들어가지 않더라도 경작의 유효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효율적인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