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표심 향배 당락 최대변수

선거 전망

이번 무진장 축협조합장 선거는 본보에서 예측한 대로, 3파전으로 압축됐다. 압축된 3명의 후보 명단은 물론, 여건상 장수의 단일화가 녹록치 않을 것이란 관측까지 적중했다.

 

일찌감치 어느 지역사람이 되느냐가 초미의 관심사였다. 진·무·장 3개 군이 합쳐져 생긴 합병 조합이란 점에서다. 진안은 입지적 당연론을, 장수는 수적 우위론을 내세워 세불리기에 나선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엎치락 덮치락하는 합종연횡 끝에 진안은 김정흠 후보로 단일화 하는 데 성공했다. 우여곡절도 겪었지만 수적 우위에 있는 장수에 맞설려면 단일화는 필수란 여론이 지배적이였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반면, 장수는 단일화와 관련해 3차례에 걸친 마라톤 논의에도 불구, 1명의 후보로 압축하는 데 사실상 실패했다. 애당초 (후보들간)서로의 생각이 달랐던 게 단일화 불씨를 당기지 못한 가장 큰 요인이다.

 

조합원 수에서 우위를 점한 인적 우위론에다, 후보없는 무주의 표심이 장수로 향할 것이란 안배론도 한 몫 거들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실제 무주 안성이 장수 장계에 인접한 이웃사촌이다.

 

이번 선거는 공중에 뜬 무주표를 얼마나 끌어안느냐가 그 성패를 가름한다. 그런 측면에서 설사 단일화에 실패한 장수 2명의 후보도 기본 1000표에 이웃사촌표를 더하면 승산이 없다할 수 없는 형국.

 

치열한 선거전을 예고하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