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제시문(가)의 교육현실은 대학의 학생선발의 자율성이 악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현실을 보여줍니다. 이런 점은 소외계층과 소외지역 학생들에게 공정한 경쟁과 자격을 부여하지 않을 것이라는 인과관계가 성립됩니다. 때문에 논지전개에서 (나)와 (다) 제시문을 먼저 요약하고, 이를 통해 입학사정관제의 부정적 측면을 보강하는 근거로 제시문(가)의 교육현실을 활용했다면, 논술문의 구조가 더욱 견고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논술문 전체의 논리적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접속사의 적절한 사용도 중요하지만, 항상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에도 주의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논지의 흐름과 명확한 주장을 끌어가기 위해서는 문장성분의 호응이 잘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