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실무부서에서조차 모르는 업무추진계획을 내놓는가 하면 언론에 대한 자료제공조차 통제하는 등 도를 넘어서면서 '옥상옥'이라는 당초의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는 것이다.
심지어는 일부 간부들조차 "무슨 자격으로 공적인 업무를 맡는지 모르겠다"며 "직원들이 일에 대한 보람을 느끼지 못하고 갈수록 사기가 떨어지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하고 있다.
실제로 4일 예산담당부서는 주민참여 예산편성과 관련해 지난 9월에 실시한 공청회 과정과 내용, 그리고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자료를 언론에 제공하겠다고 밝혔다가 이를 번복하는 일이 벌어졌다. 추진단과 협의한 결과 "예산발표때 함께 공개하는 것이 도민들의 이해에 도움이 된다"며 난색을 보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무부서와 추진단의 업무협의는 조율이나 협의차원을 넘어서서 사실상은 추진단이 결정권을 갖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앞서 내년 3월부터는 일선학교의 체벌이 일절 금지된다는 내용이 일부 언론에 보도되자 해당 부서에서는 자료의 출처를 언론에 문의하는 일이 벌어졌다. 해당 부서에서조차 모르는 일이 추진단에서 발표된 것. 이같은 사정은 이번 뿐이 아니라 혁신학교 추진 로드맵이나 인권조례 제정 계획 등의 발표에서도 반복됐다.
유아교육진흥원 설립추진과 관련해서는 실무부서와 추진단이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현실적인 찬반논란은 있을 수 있지만, 전임 교육감이 추진해온 사업이기 때문에 찬밥신세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문제는 이처럼 추진단이 사실상의 도교육청 지휘본부 역할을 맡으면서 공조직이 무력화되고 직원들의 사기가 저하될 우려가 높다는 점이다.
도교육청 안팎에서는 "교육감이 말로는 소통을 외치고 있지만 사실상은 모든 일이 추진단을 통해 걸러지고 있고, 담당부서에서는 추진단의 눈치를 보느라고 일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일부 간부들은 해당부서의 업무에 대한 설명조차도 "추진단에 가서 물어보라"며 미루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