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 전주시는 전주역사박물관과 어진박물관을 통합위탁 운영하겠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문화시설 민간위탁 수탁자 모집 공고를 발표했다. 문제는 어진박물관과 역사박물관의 통합 운영안에 관한 논의과정이 없었다는 점이다.
한 문화예술인은 "전주시가 어진박물관의 어떤 방향으로 운영할 것인가에 관한 가이드 라인이 없는 상태에서 누구에게 운영을 맡길 것인가만 고민하고 있다"며 "이는 시가 재정의 부담은 덜면서 수탁자에게 어진박물관 운영을 떠맡기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꼬집었다.
더욱이 경기전은 전주시가 관리하고, 경기전 내에 있는 어진박물관은 다른 수탁자가 맡게 되면, 한 공간에서 서로 다른 주체가 운영하게 될 경우 혼란이 생길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특히 태조 어진의 국보 승격에 대한 중앙정부의 관심을 환기시켜야 하는 상황에서 시가 어진박물관과 역사박물관을 통합 해 민간위탁을 맡기는 것은 책임 회피용이라는 목소리도 있다.
정충영 전주시 전통문화과장은 "현재 예산에서 어진박물관을 보다 전문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민간위탁을 결정한 것"이라며 "보는 시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오히려 민간 전문가들이 더 잘 운영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