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 산이 울긋불긋 물드는 가을입니다. 보금자리로 찾아드는 나그네의 발걸음이 더욱 빨라지는 계절이기도 합니다. 결실과 추수의 계절이고, 감사하는 계절이고, 겨울을 준비하는 계절이기도 합니다. 이번주에는 가을에 대해 생각해봅시다."
▲ 가을을 주제로 하는 시를 소개하고 낭송하세요.(가을을 주제로 하는 영화와 책, 연극, 드라마도 소개해보세요)
김영랑의 <오메 단풍 들겄네>오메>
서정주의 <국화 옆에서>국화>
▲ '가을의 기도' 라는 김현승 님의 시를 외워서 낭송해봅시다
▲ '가을의 기도'를 모방(패러디)하여 써봅시다.
▲ 가을하면 연상되거나 가을을 상징하는 것들을 나열하세요
낙엽, 단풍, 철새, 은행, 국화, 코스모스, 추수, 황금들판, 허수아비, 감 등
▲ 가을과 옷/ 가을과 음식/ 가을과 축제/ 가을과 사람/ 가을과 자연/ 가을과 돈 / 가을과 인생/ 등 가을과 연결하여 생각해봅시다.
▲ 가을에 대한 나름대로의 정의를 내려보세요.
①가을은 사라지는 것에 대한 애처러움으로 몸을 떨어야 하는 계절이다
②가을은 풍요롭게 영글어 가는 결실의 계절이다
③가을은 대자연의 자비와 농부들의 정성이 깃들은 감사의 계절이다
▲ 가을을 주제로 하는 신문 사진을 스크랩한 후 제목과 설명문을 새로 붙인 후 전시회를 열고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것을 뽑아 시상도 해보세요.
▲ 겨울에는 화재가 자주 일어나요. 화재를 대비하기 위해 가을에 점검해야 할 것에 대해 이야기 나누어 보세요.
-소화기 비치, 전선 피복상태 확인, 불필요한 코드 뽑기, 문어발 식 전기코드 사용자제, 가스밸브 잠그기
▲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생 시절의 가을에 관한 추억을 더듬으며 그 시절 수필을 써봅시다.(1000자 이내로)
▲ 우리나라에서 가을(9월, 10월, 11월)에 일어나는 행사들을 말해봅시다.
▲ 가을엔 울긋불긋한 단풍과 함께 바람에 흔들리는 갈대도 볼만한 풍경이예요. 갈대로 유명한 곳들을 소개하세요.
-순천만 갈대밭, 신성리 갈대밭, 태안반도 갈대밭
▲ 가을은 결실의 계절이예요. 인생의 가을에 우리가 무엇을 거두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지, 어떻게 거두어야 할지에 대한 자기 주장을 말해보세요.
▲ 서정주 시인의 '국화 옆에서'는 다음 글에서 보는 것처럼 일본 왕이 무병장수하길 바라는 시로 해석될 수 있다고 해요. 서정주 시인을 친일파로 매도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술하세요.
"한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 보다"라는 미당 서정주 시인의 '국화 옆에서'가 대표적인 친일시로 합니다. 그냥보면 아름다운 국화를 표현한 것인데, 왜 친일시라고 할까요?
2차 대전때 일본군 깃발을 보면 햇살이 퍼지는 일장기를 닮은 것이 있는데, 이는 햇살이 아니고 국화꽃잎이라고 합니다. 일본 왕실의 공식문양이 국화꽃잎 16개입니다. 일본은 벚꽃보다 국화를 더 사랑하는 민족입니다. 국화는 일본왕을 상징합니다. 미당의 '국화 옆에서'는 일본왕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시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2010년 11월 9일 경남도민일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