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도교육청 행복한교육공동체추진단(이하 행추단)이 업무추진 과정에서 소속 과장과 국장, 부교육감 등 공조직을 의도적으로 배제해왔다는 사실이 드러남에 따라 앞으로 도의회의 교육청 조직개편안 심사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기획혁신담당관실을 부교육감에서 교육감 직속으로 옮길 경우 공조직의 소외는 더욱 심해지고 업무추진 과정에서 많은 혼란과 갈등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도의회 교육위 이상현 위원장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행추단 및 TF팀 운영 등과 관련돼 생산된 대부분의 공문들이 과장이나 국장, 부교육감의 결재란이 없이 담당과 단장, 교육감 결재만 받도록 되어 있다. 애초부터 과장이나 부교육감 등을 배제하고 업무를 추진한 것. 일부 공문의 경우에만 담당 바로 아래에 별도의 칸을 만들어 관련부서의 협조결재 등을 받기도 했다.
교사의 파견에 따른 해당학교의 수업권 침해도 상당히 심각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한 초등학교 1학년 교실의 경우 하루 2명~5명씩의 교사들이 번갈아 수업을 하는 등 1주일동안 무려 7명의 교사가 수업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현 위원장은 "행추단 등의 업무추진을 보면 공조직의 무력화, 감시·통제의 기능, 옥상옥이라는 우려와 지적이 사실임을 보여주고 있다"고 들고 "교육 3주체와 함께 가고싶은 학교 행복한 교육공동체를 만들겠다는 김승환 교육감의 취임사가 신뢰를 받으려면 수신제가라는 말이 있는 것처럼 내부조직의 안정이 최우선이며, 모두는 각자의 맡은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