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중소형 강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지난 2년과 같은 급격한 상승을 기대하기 보다는 강보합 수준으로 전망치를 낮춰잡을 필요가 있다. 중소형이 흐름의 중심에 있지만 도내 주택보급률이 높다는 점과 단기급등에 따른 심리적 부담은 여전히 돌아봐야할 문제다.
일부 단지에서는 중형까지로 수요가 확산되는 것도 전망할 수 있다. 그간의 중소형 강세로 중형과의 가격격차가 좁혀져, 움츠렸던 중형 대기수요가 차익실현 및 갈아타기를 시도할 여건이 성숙되고 있다.
그러나 대형에 대해서는 여전히 보수적일 필요가 있다. 소득수준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한 대형 수요는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신규분양은 선별적 접근이 필요하다. 최근 재고 아파트의 강세에 힘입어 모처럼 분양시장에 온기가 돌고 있으나 전반적인 호황과는 거리감이 있다. 입지, 분양면적, 분양가 등을 따져 유리한 조건에만 집중할 필요가 있다.
/ 옥계공인중개사 사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