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는 생활 곳곳에서 우리 가까이에 존재한다. 장사밑천을 마련하기 위해 돈을 빌리거나 저축을 할 때에도 잊지 말고 금리를 살펴봐야 한다.
개인이 투자상품을 고를 때에도 금리와 비교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특히 1년짜리 만기 정기예금 금리를 기준으로 삼으면, 투자판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은행 예금의 경우 금리가 낮은 만큼 위험도 적어 안정성을 선호하는 투자성향을 가진 사람이라면 쉽게 문을 두드리기 쉽다. 하지만 지속되고 있는 저금리 시대에 모든 자산을 오로지 예금에만 의존하는 것은 바람직한 방법이라 볼 수 없다.
마찬가지로 투자수익률이 예금 금리와 비슷하다면 위험을 무릅쓰고 투자를 할 필요를 찾지 못한다. 보다 높은 수익률을 위해 투자대상을 물색하기 마련이다. 그렇다면 어느 정도의 투자수익률을 합리적인 기준으로 봐야 할까? 금리의 2~3배 정도면 적절하다고 본다. 이왕이면 물가상승을 고려한 금리를 전제로 실질금리를 따져보는 것이 좋다. 흔히 금리는 단순히 금융거래에서 쓰이는 명목금리와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차감한 실질금리로 구별할 수 있다. 한 예로 정기예금의 명목금리가 4%인데 반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5%인 경우 실질금리는 0.5%정도가 되는 셈이다. 즉, 물가가 많이 오르면 금리가 아무리 높더라도 실제로 얻게 되는 이자는 크지 않다는 소리다. 이자를 가지고 오래 생활해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매력적인 숫자가 아니다.
수익률이 높을수록 위험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지사, 수익률과 위험을 항상 함께 생각해야 하는 것은 투자의 기본자세이다. 금리와 치솟는 물가상승률을 방어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주식은 또 다른 대안으로 살펴볼 수 있다. 주식의 특성상 수익성과 안정성 모두를 충족시키기란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주식투자는 기업의 이익을 보고 동업을 한다는 생각으로 투자하는 행위이다. 즉, 기업의 주인이 된다는 생각으로 가치 있는 기업을 찾아 함께 한다면 사업을 잘 영위해서 얻을 수 있는 배당수익과 함께 매매차익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
/ 박진성 에셋플러스자산운용 투자지혜연구소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