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주체별로 살펴 보면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는 전반적으로 주춤했다. 외국인은 한 주간 100억 원 가량 순매도했고 기관은 4386억 원 가량을 순매도했다. 개인은 1조516억원어치 순매수했다.
반면에 외국인 순매수 종목은 하이닉스와 삼성생명에 집중됐다. 상장 후 지루한 장세를 보이던 삼성생명은 이번 주 장중 공모가를 회복하는 등 의미있는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금통위의 금리 인상의 영향으로 보험주를 둘러싼 호재에 대한 기대감도 크다.
금주의 주식 시장 역시 고점 경신에 대한 부담감은 여전하겠지만 특히 매매주체가 개인으로 분류되는 자문사 랩의 최근 지속적인 자금 증가와 무관하지 않다. 단순히 개인 투자자가 아닌 기관의 성격을 지닌 자금들이 대형주 중심으로 시장을 이끌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지난 주 금통위에서 금리 인상을 단행 했지만 여전히 시장 금리를 고정금리에 묵어 놓기엔 여전히 매력적이지 못하고 위험 자산에 투자를 할 수 밖에 없는 환경에 지속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국내 증시를 주도 했던 외국인들의 매도는 기조적인 매도보다는 일부 차익 실현과 조정 시 재매입을 하기 위한 매도를 봐야 할 것이다. 따라서 사상 최대치라는 고점에 대한 부담감으로 일시적인 조정을 보인다 하더라도 큰 폭의 조정보다는 조정 시 저가 매수세에 의한 하방 경직성이 강화 될 것으로 보여 조정 시 재매수 하는 전략이 유효할 것이다.
금주 증시도 기존 주도주 즉, 자동차 및 부품주를 선별하면서 접근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이며 당분간 정유주보다는 유화주(석유화학)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건설주의 의미 있는 신고가 출현은 건설 경기의 회복에 따른 기대감으로 볼 수 있어 여전히 시장의 새로운 주도주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 저축은행의 구조조정에 따른 단기 악재에도 불구하고 은행 업종의 반등은 실적 회복에 따른 기대와 상대적 저평가 매력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어 지속적인 관심 종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2100시대의 주역인 증권주 역시 결코 놓쳐서는 안 될 업종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