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확산 中企에도 악영향

원자재 상승·매출감소로 경영 악화

구제역 관련, 중소기업들이 원자재가격 상승과 매출 감소로 경영상황이 크게 악화됐고 원자재 수급사정 악화로 상당수 중소기업들이 2개월 내 조업이 중단될 위기에 처할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최근 육가공 및 육류 도소매업, 피혁(동물가죽), 재생유지(동물성지방가공) 등 구제역 관련 중소기업 회원사 100개 업체를 대상으로 '구제역 확산에 따른 중소기업 경영애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업체 84.0%가 '구제역 확산 이후 원자재 가격이 상승했다'고 답했으며, 가격상승률은 평균 49.3%로 원재료비 부담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응답업체의 53.0%가 매출액이 감소했다고 밝혔으며 평균 매출액 감소율은 40.1%로 그 피해 규모가 상당히 큰 것으로 드러났다.

 

원자재 수급상황에 대해서는 80.0%가 악화되었다고 응답했으며, 향후 조업가능일수에 대해서는 78.0%가 '2개월 미만'으로 응답해 상당수 기업들이 원자재 공급부족으로 2개월 이내에 조업중단 위기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제역 확산으로 인한 경영애로는 '재료비 상승으로 인한 채산성악화' 응답비율(42.0%)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원자재 공급감소로 인한 생산 차질'(29.0%), '소비심리 위축으로 인한 수요감소'(19.0%)의 순으로 응답했다.

 

또한, 원자재 수급사정이 구제역 확산 이전 수준으로 정상화되기까지 소요기간에 대해 6개월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한 기업이 62.0%에 달해 최소 6개월 이상 원자재 수급불안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원자재 수급불안에 대한 대응방안으로는 '경영비용 절감'이 35.0%, '원자재 수입'이 24.0%, '특별한 대응방안이 없음'이 35.0%로 나타나, 자체비용 절감과 원자재 수입 증가 이외에 다른 대응방안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구제역 확산에 따른 가장 적절한 정부대응책으로는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28.0%), '대체수입품목에 대한 일시적 관세인하'(24.0%) 등 단기적 지원책에 대한 응답비율이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