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 '함상공원' 결국 실패작

군비 20억 투입, 함정 유지관리비 등 재정압박…해상경관 훼손 등 부작용

민선 3기때 착수돼 20억원이 투입된 부안 격포 함상공원(해양테마파크). (desk@jjan.kr)

민선 3기때 착수돼 20억원이 투입된 부안 격포 함상공원조성사업(해양테마파크사업)이 이미 설치·전시되고 있는 함정·수송기 등 육해공 전투장비의 반납이 추진되고 있어 실패작으로 귀착되고 있다.

 

부안 함상공원조성사업은 관광객 유치 등을 위해 국비 15억·도비 5억 ·군비 30억 등 총 50억원을 투입, 변산면 격포항 일원 8297㎡(육상 5579㎡, 해상 2719㎡)에 무상대여된 전투장비 전시및 체험·편익시설 등을 오는 2015년까지 조성한다는 계획으로 지난 2005년부터 추진되고 있다.

 

이 함상공원에는 현재까지 군비 20억원이 투입돼 지난 2006년에 인수한 폐선대상인 4000톤급 상륙함정을 비롯해 M-47전차 등 7종의 육해군 전투장비와 2008년에 인수한 이승만 전 대통령 수송기 등이 전시되고 있고, 공원시설 등이 설치돼 있다.

 

부안군은 당초 함정에 선상카페·빛 분수·천체 망원경· 컨벤션홀·덤블자전거·레이저 설치 등을 통해 관광객을 유치, 수익창출을 극대화한다는 방침이었으나 군(軍)측에서 불가 입장을 드러내 전혀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매년 함정유지관리비로 1억500만원 정도가 투자돼 부안군 재정의 압박요인으로 작용하고, 격포항 접안시설 부족난 및 해상경관 훼손 요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지난해 제 2차 군의회 정례회에서 오세웅 군의원은 군정질문을 통해 "사업계획대로라면 향후 30억원의 사업비가 더 확보돼야 하고 ,진해 해양공원·삽교호 함상공원·강릉통일공원 등 국내 타 함상공원이 적자운영을 면치 못하는 등 사양길로 접어들고 있다"면서 "2011년 10월 1일로 함정이 만료됨에 따라 함정을 반납조치하고 함상공원 조성사업은 중단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와관련 부안군은 "궁여지책으로 민간인에게 재임대하는 활용방안을 검토해 봤으나, 계약특수조건에는 민간 또는 타 기관에 재임대를 하지 못하도록 돼 있어 매년 유지관리비 확보가 어렵고 타 지역 함상공원도 적자운영중이어서 함정 등 대여 전투장비에 대해 단계별로 반납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함정반납을 위해서는 함정예인 및 운반·함정거치 철거 및 폐기물처리 등에 5억원이 추가 소요될 것으로 보여 이같은 예산확보도 과제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