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경기 침체로 면허반납 '증가'

업종변경·사업포기 사유가 각각 1·2위 차지

건설경기의 장기 침체로 인해 보유하고 있던 면허를 반납하는 도내 건설업체들이 매년 늘고 있다. 도내 건설업계에서는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몫을 담당하고 있는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대안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25일 국토해양부가 운영하는 '건설지식정보시스템 KISCON'에 게시된 면허반납 공시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에서는 모두 34개 종합건설업체가 면허를 반납했다. 이는 지난 2008년 28건 보다 6건, 2009년 보다는 4건이 늘어난 것으로 매년 면허반납이 늘고 있는 실정이다.

 

2010년 면허반납 업체들의 사유를 살펴보면 업종변경이 15건으로 가장 많았고, 사업포기 14건, 합병 3건, 수주부진과 행정처분이 각각 1건씩이었다. 특히 업종변경과 사업포기의 경우 2008년부터 현재까지 면허반납 사유의 1·2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업종변경과 사업포기가 면허반납의 가장 주된 사유가 되는 것은 경기침체에 따라 자금유동성을 버티지 못하고 스스로 회사 운영을 포기하거나, 자구책의 일환으로 다른 업종으로의 진출이 활발하게 이뤄지기 때문이라는 것이 업계 관계자의 분석이다.

 

이와 함께 건설업체들의 면허반납은 전문건설업계에서도 늘어나는 추세다. 도내 전문건설업체들은 지난 2008년 모두 154개의 면허를 반납했으며, 2009년 161개, 2010년 183개를 반납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일부는 사업 영역 확대를 위해 보유 면허를 반납, 새로운 면허를 취득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도내 지역 공공공사 물량이 감소하면서 관 공사 의존도가 높은 업체들이 수주를 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감안하면 면허 반납은 더 늘어날 수도 있을 것이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