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금리를 인상하면 그에 따른 손실분을 충당하기 위해 대출금리를 올릴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채무상환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저소득층은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여 금리 인상의 후유증을 예고하고 있다.
금리변동은 소비와 투자, 물가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은행에 예금을 맡긴 개인들은 금리가 오르면 더 많은 이자를 받기 때문에 소비가 늘어 수요공급원칙에 의해 물가가 내리는 효과가 있다.
반면 예금 금리가 오르면 은행들은 수익을 맞추기 위해 대출금리를 늘릴 수 밖에 없고 돈을 빌려 투자하는 기업은 대출이자 부담으로 투자를 줄이는 역효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금리 인상이 물가에 미치는 서로 상반된 영향 중 어느 쪽 영향이 더 큰가에 따라 평가가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원가 상승보다 수요감소 효과가 더 크기 때문에 물가 인하를 위해 금리를 인상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통론이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은 금리를 수단으로 과열된 경기를 진정시키거나 침체된 경기를 부양하고 있다.
실제 도내 시중 은행권 및 제2금융권은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 발표에 따라 지난 1일을 기준으로 예금금리를 4%대로 일제히 올렸다.
전북은행의 경우 기존 3.9%에서 4.1%로 올렸으며 국민은행을 비롯한 신한은행, 하나은행 등도 4.0∼4.2% 수준으로 예금금리를 인상했다.
제2금융권인 스타저축은행과 전주·예나래·미래저축은행 등도 각각 0.05∼0.3%p 올렸다.
대출금리 역시 전북은행이 이번주중 0.05%p를 인상할 계획을 갖고 있는 등 다른 은행권과 제2금융권도 잇따라 대출금리를 인상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내 은행권 관계자는 "예금금리 인상으로 가계에 큰 부담을 주고 있는 물가를 안정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그러나 금융부채가 있는 저소득층의 이자 부담이 가중되고 기업들의 투자활동이 위축될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