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지난 3일 새만금방조제 내측(군산 신시도 배수갑문과 가력도 사이)에서 죽은 채 발견된 소형 돌고래(일명 상괭이)가 10여마리에서 7∼8일 90여마리가 추가로 확인돼 모두 100여마리인 것으로 밝혀져 수질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본보 8일자 6면 보도)
하지만 새만금방조제 운영기관인 한국농어촌공사는 수질문제 보다는 최근 불어닥친 한파로 인한 질식 및 동사로 추정된다고 밝히고 있고, 해경도 한파로 인한 질식 및 동사에 무게를 두고 있지만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환경전문가들에 의뢰하여 유입 경로와 떼죽음 원인 등을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8일 새만금사업단 및 군산지역 어민들에 따르면 지난 3일 군산 신시도 배수갑문과 가력도 사이 새만금방조제 내측 자갈밭 위와 내측 수면에서 10여마리의 상괭이가 죽은 채 발견된데 이어, 7일과 8일 또 다시 90여마리가 이 일대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한국농어촌공사 측은 3일에 12마리, 7∼8일에 각각 60여마리와 30여마리 등 숨진 채 발견된 상괭이 100여마리를 군산의 한 폐기물처리업체에 위탁해 소각했다.
김동원 새만금사업단 환경팀장은 "상괭이는 민물·바닷물에서도 잘 사는 포유류로, 수질 때문에 죽은게 아니라 먹이를 찾아 아래로 내려왔다 그물에 걸려 동사한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방조제 내측에는 숭어를 잡기 위해 100여개 이상의 그물이 쳐져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농어촌공사측은 상괭이의 소각 사실을 숨기는 등 상괭이 떼죽음 사건을 쉬쉬하고 있어 은폐 의혹을 자초했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