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동·서·남해안권 발전계획을 확정 발표하면서 해당 자치단체들이 경쟁적으로 바다를 매립하거나 활용하는 대규모 해안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만금사업이 향후 외자유치나 기업유치 등 민간 투자자를 유치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어려움이 뒤따르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동·서·남해안권 발전계획은 오는 2020년까지 민간자본 등 모두 50조원을 들여 국내 3개 해안권을 관광, 신산업, 물류거점으로 개발하는 사업이다.
정부는 동해안권에 24조8000억원(119개 사업)과 서해안권에 25조2000억원(99개 사업), 남해안권에 24조3000억원(166개 사업)을 투입할 계획이다.
현재 경기도와 충남도, 전남도, 경남도, 경북도, 강원도 등 관련 자치단체에서 대규모 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민자유치 활동 등이 벌어지고 있다.
이 속에서 남해안권 개발사업인 이른바 '선벨트' 사업이 지난해부터 대규모 민간 투자자 유치에 들어가는 등 가장 발빠르게 추진되고 있다.
오는 2020년까지 남해안을 세계적인 해양관광과 휴양지대로 조성하는 이 프로젝트는 새만금 관광단지 개발사업과 유사한 방향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여기에 같은 서해안권에서 그동안 난관에 부딪쳤던 J프로젝트가 지난 2003년 밑그림이 제시된 지, 8년 만인 올 5월에 첫 삽을 뜰 계획이다. J프로젝트는 전남 해남군과 영암군 일대 간척지 84.4㎢를 매립해 여의도 10배 규모의 땅을 마련하는 것으로써 '제2의 새만금사업'이라 불리고 있다.
서해안권에서는 또, 새만금 면적의 8분의 1 크기인 인천 송도국제도시 개발사업이 지난 2003년부터 추진, 새만금을 앞뒤에서 압박하고 있다.
따라서 새만금사업을 보다 발빠르게 추진하거나 보다 차별화된 민자 유치방안을 마련하는 등 특단의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향후 관광·신산업 거점으로 개발되는 새만금 지구에는 오는 2020년까지 12조4000억원 등 모두 20조 8000억원이 투입되는 가운데 절반이 민자다.
도 관계자는 "새만금의 미래는 민간 투자자 유치에 달렸다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보다 적극적으로 투자유치 활동을 벌여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