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0년 4분기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광공업생산은 광주가 전년 동기보다 22.5% 증가해 증가율 1위를 기록했다. 이어 경남(18.6%), 경기(17.4%), 대전(17.4%), 전북(17.0%)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이 지역들은 기계장비와 반도체, 자동차 등 수출 주도 업종의 호황에 따라 생산활동이 급증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제주의 4분기 광공업생산은 -12.4%에 머물렀고 전남(-3.8%)과 경북(-3.3%)등도 감소세를 보였다.
대형 소매점 판매는 강원(12.7%)과 대전(9.3%), 서울(7.9%), 부산(6.9%) 등의 순으로 증가세가 높지만 전남(-2.4%)과 전북(-0.5%), 제주(-0.5%), 충북(-0.4%) 등은 줄었다.
취업자는 제조업과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등이 증가한 울산(3.0%)과 경남(2.7%), 서울(2.4%), 경기(2.4%) 등에서는 증가했으나 농림어업, 도소매업의 취업이 부진한 전남(-3.0%)과 제주(-1.9%), 전북(-0.9%) 등은 감소세를 지속했다.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는 제주(5.1%)와 경남(4.8%), 울산(4.8%), 전북(4.5%), 전남(4.5%) 등이 전국 평균(4.1%)을 웃돌았다.
건설동향은 전국의 건축 착공 면적이 12.8% 감소한 가운데 경북(56.6%)과 전북(51.3%), 강원(34.7%) 등은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고 경기(-54.0%), 울산(-19.2%), 대전(-15.7%) 등은 감소했다.
아울러 연간 기준으로는 지난해 광공업생산 증가율은 경기가 24.6%로 1위를 기록했으며 광주(24.5%), 대구(21.9%), 충남(21.0%), 전북(20.6%) 등도 20%를 넘겼으나 제주(-6.5%)만 식료품제조업의 부진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해 고용은 광주(2.6%)와 경기(2.4%), 울산(2.4%), 인천(2.1%), 서울(2.1%) 등이 2% 이상 늘었으나 전남(-2.7%)과 강원(-1.9%), 제주(-1.9%) 등은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