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E] 구제역 파동

인긴의 이기심이 낳은 환경 재앙 어디까지

지난 1월 10일 정읍시 접종반원들이 10일 오전 신태인읍 화호리의 한 축사에서 소에게 구제역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다. (desk@jjan.kr)

심각한 '환경'문제가 최근 구제역 파동과 함께 더욱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소와 돼지, 조류의 무분별한 매몰 처분이 가져올 재앙이 눈앞에 펼쳐지고 있으며, 그런 와중에도 여전히 환경보호보다는 개발 논리가 앞서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인간의 이기심이 낳은 지구촌 환경의 재앙은 어디까지 갈 것인가? 우리 앞에 펼쳐진 구제역의 실상과 대책을 살펴봅시다.

 

[참고해야 할 신문 기사 자료]

 

전북일보 2011.2.16일자 1면 (청정전북 지키기 비상)

 

전북일보 2011.2.11일자 칼럼 ('구제역 재앙'은 인재다)

 

경향신문 2011.2.16일자 1면, 3면(침출수 위험, 수돗물 오염 등)

 

조선일보, 2011.2.16일자 [가축 매몰 실태]

 

[생각 넓히기]

 

▲ 구제역 발생의 원인은 무엇인지 살펴보세요.

 

▲ 구제역 발생에 따른 매몰이 주는 피해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 보세요.

 

- 축산농가의 생계대책 및 정신적 피해

 

- 토양 오염, 지하수오염, 식수난, 악취

 

- 정부의 대책 마련과 공무원들의 방제 노력에 따른 노동력 손실

 

- 경제적 손실, 청정국 지위 해지 및 회복 기간의 노력

 

- 수출 지장 초래 및 수입 확대

 

- 심리적 불안감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으로 불경기 지속

 

- 내수시장의 가격 인상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 급증

 

▲ 우리 지역의 매몰 현황은 어느 정도인지 살펴보고 다른 지역과 비교해 보세요.

 

▲ 가장 큰 피해를 당한 지역의 매몰 현황과 대책을 살펴보세요.

 

▲ 국제적으로 최근 구제역이 발생한 나라를 알아 보세요

 

▲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인정하거나 해지하는 기구는?

 

- 국제 수역 사무국(OIE: Office International des Epizooties) 과학위원회

 

▲ 축산농가에서 살처분을 실시하면 보상이 이뤄집니다. 어떤 경우에 보상을 제대로 받을 수 없는지 알아보세요.

 

<살처분 보상금 차등 지급조건>

 

가. 발병증상이 외관상 최초로 나타난 날 신고 : 감액 없음

 

나. 발병증상이 외관상 최초로 나타난 다음날부터 4일 이내에 신고 : 20%감액

 

다. 발병증상이 외관상 최초로 나타난 날부터 5일 지난 후 신고 : 40%감액

 

라. 신고하지 아니하거나 지연하여 가축방역관이 발견한 경우 : 60%감액

 

▲ 구제역 파동으로 어려움을 당한 축산농가들을 위로하는 내용의 글을 써보자.

 

▲ 구제역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사해 보세요.

 

▲ 살처분 매몰 외에 다른 방안을 찾아서 발표해 보세요.

 

▲ 정부에 축산농민의 심정으로 효과적인 대책을 촉구하는 글을 작성해 보세요.

 

▲ 구제역 전염병이 발병되었을 때 초기에 대책이 마련되어야 하는 타당한 이유를 요즘 진행되는 상황을 예로 들어 세 가지만 발표해 보세요.

 

▲ 생명의 본질 측면에서 소나 돼지, 닭 등의 살처분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논하시오.

 

▲ 이규보의 '슬견설'(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2학년 국어교과서)을 참고하여 소와 돼지의 입장에서 '생명의 소중함'을 말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