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진흥공단 전북본부에 따르면 올해 도내에 배정된 정책자금은 1356억1000만원으로 현재(2월 14일 기준) 86개 업체가 총 417억6800만원을 신청, 전체 예산대비 30.8%를 기록했다.
사업별로는 긴급경영안정자금의 경우 올해 예산 70억1000만원의 92.8%에 해당하는 65억900만원이 신청돼, 신청금액으로만 따지면 이달 중 올해 예산규모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등 수요가 폭증하고 있다.
반면 창업기업육성자금 신청은 전체 예산 740억원의 30.6%에 그친 226억5400만원에 불과하고, 개발기술사업화자금 신청도 전체 예산 80억원의 35.1%에 그친 28억1000만원만 신청돼 대조를 보였다.
중진공은 올해 중소기업 지원정책 방향을 특정산업을 제외한 모든 산업에 대해 지원하던 이전 방식에서 전략산업 중점지원으로 전환, 녹색·나노소재 산업 등 차세대 유망산업에 대해 집중지원키로 하면서 창업 7년 이상 기업에 대한 지원(신성장기반·긴급경영·사업전환자금)은 대폭 축소했다. 또 창업 7년 미만 기업들의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방침아래 이들 기업에 지원되는 창업자금과 개발기술사업화자금은 대폭 증액했다.
특히 긴급경영안정자금의 경우 지난해 예산(102억5000만원)보다 무려 31.6%나 감액해 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상황서 중소기업들의 자금난 악화가 우려되고 있다.
중진공의 이같은 예산배정 방침은 정부가 올해 정책목적성이 높은 철강, 자동차, 조선업종, 녹색·신성장동력산업, 지식서비스·문화콘텐츠산업 등 전략업종에 대한 지원과 고용창출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정책목표에 부합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당초 취지와 달리 창업 7년 미만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창업자금 및 개발기술사업화 자금 수요는 예산 증액에도 불구하고 전년과 비슷한 수준에 그치고 있는 반면, 긴급경영안정자금 수요는 급증하고 있어 정책적 개선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 중진공 전북본부 관계자는 "아직까지 경기가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지 않고 있어 투자 시기를 관망하는 전략업종 업체들이 많아 예상보다 신청이 저조한 것 같다"며 "전북중기청과 함께 오는 24일까지 도내 지역을 순회하며 정책자금 시책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전략업종 업체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