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가운데 파손도로 보수를 둘러싸고 방역초소를 운영했던 자치단체들은"구제역이 국가적 재앙이었던 만큼 국가차원에서 나서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고, 국도관리청은 "국도점용 허가협의때 약속했던 것처럼 해당 자치단체에서 해야 한다"고 책임을 떠넘기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해 12월 구제역이 발생함에 따라 일선 시·군들은 접경지역 국도와 지방도 등에 방역초소를 설치·운영했으며, 구제역이 소강상태를 보인 올 3월 초순께 일부는 철거하고 일부는 운영중에 있다.
방역초소가 설치운영된 도로 노면은 방역활동으로 흘러나온 소독용물이 얼어다 녹았다를 반복하고, 속도조절용 턱으로 차량들이 덜컹걸리면서 곳곳이 심하게 패이고 균열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후 파손현상이 발생한 노면에 대한 보수가 몇차례 이뤄지기는 했지만 항구적 보수가 아닌 응급보수에 그쳐 또 다시 파손현상이 나타나 통행차량에 불편은 물론 사고위험까지 우려되고 있다.
실례로 국도 23호선상 부안과 김제 접경지역인 동진대교 부근은 이달 7일 방역초소가 철거됐으나, 보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이 곳을 오가는 차량 운전자들이 크게 불안해 하고 있다.
이에 국도 23호선을 관리하고 있는 전주국도관리사무소는 "방역초소 설치·운영으로 파손된 도로부분은 자치단체에서 보수하기로 도로점용허가시 협의돼 있다"고 말했다.
반면 부안군 농업정책과 관계자는"구제역 방역초소를 운영했던 전국 시·군들이 국가적 재앙이었던 구제역 예방을 위한 활동으로 발생한 국도 파손부분에 대해 정부에서 보수해줄 것을 건의한 상태"라고 말했다.
이에대해 차량운전자들은 "정부든 자치단체든 빨리 도로보수에 나서 통행불편 및 사고위험을 줄여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