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E] 용어정리

▲ 녹색성장 (출처 시사상식사전)

 

미래 세대가 경제활동을 원활히 지속할 수 있도록 현 세대가 제한된 양의 자원만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환경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도록 노력하면서 경제성장을 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2005년 유엔 환경개발장관회의(MCED)에서 처음 사용됐으며, 우리나라에 이 개념이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이명박 대통령이 2008년 8ㆍ15 경축사에서 '저탄소 녹색성장'을 새로운 신국가발전 패러다임으로 제시한 종합적 국가전략을 발표하면서부터다. 이에 따르면 녹색성장을 통한 녹색기술과 청정에너지를 신성장동력으로 삼아 국가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는 신국가발전전략이다. 이는 에너지 및 환경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한 일자리 창출, 성장동력, 기업경쟁력 확보, 국토 개조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 신재생에너지 (출처 시사상식사전)

 

액화석탄·수소에너지 등 '신(新) 에너지'와 동식물유기물ㆍ햇빛ㆍ바람ㆍ물ㆍ지열 등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재생가능한 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를 통합해 지칭한 말이다.

 

신재생에너지 중 가장 각광받고 있는 것은 바이오(bio)디젤과 바이오에탄올을 아우르는 바이오연료다. 바이오디젤은 콩ㆍ유채ㆍ야자유ㆍ팜유나 폐식용유 등 식물성 기름을 촉매와 함께 물리ㆍ화학적 처리 과정을 거쳐 만든다. 바이오에탄올은 생체에너지원(biomass)에서 만들어내는 에탄올을 뜻한다. 옥수수, 사탕수수, 밀, 감자, 볏짚, 목재의 찌꺼기 등에 들어 있는 녹말을 추출ㆍ정체하여 글루코오스(포도당)로 전환시킨 후 효소를 넣어 발효시켜 에탄올을 추출해 내는 것이 기본 원리다.

 

-재생에너지 : 태양에너지, 바이오, 풍력에너지, 폐기물에너지, 지열, 수력, 해양에너지

 

-신에너지 : 수소에너지, 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 및 중질잔사유가스화 에너지

 

▲ 지구온난화현상 (출처 브리태니커사전)

 

온실효과의 결과로 지구의 평균 대기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

 

이산화탄소(CO2 : 탄산가스), 프레온가스(CFC), 메탄가스(CH4), 질소화합물(NO2), 대류권 오존(O3), 수증기 등 대기 중의 미량 기체는 지구로 입사하는 태양 에너지의 단파장 성분을 투과시키고 지구에서 반사하는 장파장 성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다. 이 작용으로 지구의 온도는 이것들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33℃ 정도 높게 유지된다. 이 효과를 온실효과라고 하며 이들 가스를 온실효과 가스라고 부른다. 오늘날에는 화석연료의 사용 증가, 수림 벌채의 증가, 농업·공업 등 각종 산업활동의 확대, 프레온 가스의 사용 등으로 인해 대기 중에 온실효과 가스가 급격히 증가되었다. 이 추세로 가면 온실효과가 더욱 증대하여 지구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빙하·빙산이 녹아내리고 해수면이 상승하는 등 인간을 둘러싼 환경에 커다란 변화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각종 환경회의를 통해 전지구적인 온실효과 가스 배출억제책을 마련하여 실행에 옮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