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군산시에 따르면 도심 재해예방(침수피해 등)과 하천 친수공간 조성, 군산시 재정부담 해소 등의 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경포천의 국가하천지정에 빨간불이 켜졌다. 경포천이 국토해양부의 평가에서 전국 3800여개 지방하천 중 하순위 등급판정을 받아 지정 대상에서 멀어졌기 때문이다.
그동안 재해예방 효과와 지방재정의 열악함 등을 내세워 국토부에 지속적으로 국가하천 우선 지정을 요청했던 군산시로서는 하순위 판정이 적잖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경포천은 지난해 7월 전북도의 '국가하천 지정 대상지구 1순위'로 선정돼 중앙에 제출됐으나, 지난 3월 국토부에서 하순위 등급이라는 답변을 받았다"면서 "현재로서는 국가하천지정이 불투명한 상태이며, 뾰족한 대책이 없어 답답하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경포천이 국가하천으로 지정받기 위해서는 새로운 논리개발과 정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시청 안팎에서는 "경포천 정비작업에는 1000억원 이상의 막대한 자금이 조달돼야 하는데, 지방하천으로 추진할 경우 40%가 지방비에 해당된다. 국가하천지정을 위한 새로운 논리개발과 정치적인 문제 해결이 필요한 시점이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군산시 경암동에서 개정면 옥석리까지 총 8.92㎞의 경포천은 1982년 10월11일에 지방하천으로 지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