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 학생 논술문

김해람(근영여고 3학년)

우리나라가 통일을 하기 위해서는 <자료 2> 의 민족적 접근 방법이 더 적절하다. 통일의 근본적인 의의는 분단된 민족의 정서를 하나로 다시 통합하는 것에 있다. 서로 간에 느끼는 동질성은 좀 더 원활한 통일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남과 북은 65년 동안 서로 다른 사회 풍조 길을 걸어 왔다. 그 결과 사소한 언어의 문법부터 정치 체제까지 차이를 빗는 결과가 나왔다. 만약 이런 상황 속에서 민족의 정서적 동질감을 중요시 하지 않는다면 통일 전 후로 하여 양쪽 국민들은 일상적인 생활 모습부터 경치 경제 문화적 환경의 차이로 많은 갈등을 초래 할 것이다. 물론 통일의 과정 속에서 소비되는 통일 비용, 통일의 경제적 영향 등을 중요시 하는 실용적 접근도 중요하다. 통일에 수치화된 접근은 객관적으로 통일의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분단되었던 민족이 다시 하나로 되는 기쁨은 수치화 될 수 없다. 또한 실용적으로 접근하는 태도는 통일의 진정한 의미나 효과를 근본적으로 파악 할 수 없다. 양 국민이 통일의 진정한 의의를 찾지 못 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통일은 불안전한 통일이 될 것 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서로에 대한 충분한 이해 없이 통일이 이루어진 후에도 민족의 단결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자료 1> 에서는 새 술은 새 부대에 라고 하였다. 현재 우리 사회 체제가 중시하는 실용적인 접근은 헌 부대로서 새롭게 하나가 될 민족의 술을 담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실용적 측면을 강조한 채 이루어지는 통일은 두 민족의 경제적 이질감에서 더 나아가 정치적 문화적 이질감까지 일으킬 것이다. 이런 근대의 합리주의를 중시하는 사고는 낡은 부대이다. 따라서 남북통일은 민족적 관점이 중시되어 이루어야한다.

 

/ 김해람(근영여고 3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