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비주류의 지지를 등에 업고 당선된 황우여 원내대표ㆍ이주영 정책위의장이현 정부 소통 부재의 대표적 사례로 감세를 지적하고 이에 대한 철회를 들고 나옴에따라 대책 마련에 부심하는 모습이다.
이들의 주장은 지금껏 정부가 줄곧 견지해 온 감세를 통한 성장 기조에 정면으로 반기를 든 것이어서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감세 논쟁에 불을 붙일 수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여당이 지난 4ㆍ27 재보선의 패배 후 내년 총선ㆍ대선을 앞두고 민심을 달래기 위해 이 대통령이 추진하는 각종 국정 과제에 사사건건 제동을 걸 경우국정 장악력이 급속히 떨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벌써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나 '국방개혁 307계획', 복지예산 책정등 국회의 동의가 필수적인 사안에서 한나라당의 협조를 받기가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감세철회 논쟁은 앞으로 팽팽하게 전개될 당ㆍ청간 기싸움의 전주곡이 될 개연성이 크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당이 감세철회를 주장한다고 해도정부의 정책 기조가 곧바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면서 "국정 운영의 공동당사자로서 앞으로 긴밀히 논의를 거쳐 숙고해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이미 예고된 법인세ㆍ소득세 감세를 철회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혼선을 막는동시에 당에 순순히 주도권을 내주지는 않겠다는 의도가 엿보인다.
청와대는 또 복지 예산을 늘리는 데 원칙적으로 공감하면서도 "어떤 경우에도국가재정의 안정성을 훼손해서는 안된다"는 전제를 달아 지나친 인기영합식 정책을경계했다.
청와대는 이 대통령이 유럽 3개국 순방을 마치고 귀국하는 15일 이후 고위 당ㆍ정ㆍ청 협의 등을 추진, 감세를 비롯한 주요 정부 정책에 대해 논의에 착수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