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의 신문용지 제조업체인 ㈜전주페이퍼(대표 한인수) 전주공장이 누적종이생산량 2000만t을 달성하며 국내 제지산업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지난 1968년 공장을 가동한 이래 42년8개월 만이다.
전주페이퍼 전주공장 나병윤 생산본부장을 비롯한 임직원들은 12일 축하행사를 갖고 새로운 도약을 다짐했다.
전주공장이 생산한 종이 2000만t은 신문 약 800억부를 인쇄할 수 있는 물량으로, 우리나라 신문사가 22년간 사용할 수 있는 물량에 해당된다. 특히 누적생산량을 펼치면 약 5억㎞ 길이로, 지구를 1만2500바퀴를 돌 수 있으며,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의 3.4배에 달한다.
전주페이퍼 전주공장은 지난 1968년 9월 연간 4만t을 생산하는 초지 1호기를 가동한 데 이어, 1996년 연간 28만t을 생산하는 초지 7호기를 순차적으로 완공했다. 또 1999년 9월에는 누적 생산량 1000만t을 달성한 바 있다. 초지기별 생산규모는 11일 현재 1호기 152만t, 2호기 70만t, 3호기 307만t, 4호기 269만t, 5호기 388만t, 6호기 435만t, 7호기 379만t 등이다. 전주공장은 규모가 적고 노후화 된 3대의 초지기는 중지하고 현재 4대의 초지기를 가동중이다.
전주공장의 이같은 성과는 지난 1965년 새한제지로 출발해 전주제지, 한솔제지, 팬아시아페이퍼, 노스케스코그를 거쳐 지난 2008년 전주페이퍼로 사명을 바꾸는 변화를 비롯해 두 차례에 걸친 석유파동으로 인한 제지산업 붕괴위기 및 외환위기 등 수많은 역경을 극복하고 이룬 성과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각별하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무엇보다 단일공장으로 국내 최대의 종이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전주공장의 경우 질적·양적으로 국내 제지생산을 주도해온 산 역사로 손꼽힌다. 실제로 전주공장은 산림자원이 빈약한 우리나라 환경에서 폐지를 주원료로 사용하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주도했고, 신문용지의 경량화를 꾀하는 등 질적·기술적인 측면에서도 국내 제지산업에 많은 기여를 해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국내 신문용지 시장의 45%를 점유하고 있는 전주페이퍼는 전주와 청원 공장에서 연간 87만t의 신문용지와 13만t의 출판용지를 생산하고 있다. 전주페이퍼에서 생산하는 출판용지는 친환경적이고 가벼운 특성이 있다는 점에서 교과서용지와 서적지로 인기가 높으며, 전체 생산량의 약 50%를 수출하고 있다. 제지업계 최초로 1995년부터 환경부의 환경친화기업 인증을 받은 친환경 모범사업장으로, 90%이상 폐지를 재활용해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