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다른 동물과 구분되는 것은 '자유 의지'의 소유이다. 자유의지는 여러 대안 가운데서 선택을 하거나, 어떤 상황에서 자연, 사회, 신의 구속에서 벗어나 행동할 수 있는 사람의 힘이나 능력을 의미한다. 자유의지의 개념은 독립적이고 고차원적인 것으로서 인간 개개인의 존재가치를 드러낸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인간의 자유의지에 영향을 주는 많은 요인이 있다. 육체의 한계와 욕망, 환경의 영향, 자기중심적 사고와 그로인한 현실파악의 한계 등 따라서 이 논제에서는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을 고려하고 그러한 영향 요인 속에서 인간의 자유의지가 어떤 식으로 형성되며 자유의지 실현의 긍정적인 모습을 모색하고자 한다.
(가)는 뇌의 신경세포가 활동하는 모습을 바탕으로 환경에 대응하는 뇌의 기계적인 모습을 말하고 있으며 (나)에서는 서로 다른 자존심 정보를 가진 여대생이 게임에서 속임수를 쓰는 빈도에 대한 실험으로 자신이 가진 자아개념에 따라 다르게 행동하는 인간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에서는 자기중심적 사고를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 인간의 사고가 '나'를 중심으로 하는 자기중심적 사고의 형태를 띠며 그에 따른 사고의 한계를 짐작할 수 있는 지문이다.
제시된 지문들은 논제의 '자유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가)는 인간의 신체적 요인 즉 뇌의 기계적이며 자동적인 모습, (나)는 사회적 요인 자라면서 갖게 되는 환경적 영향 요인, 마지막으로 (다) 인지적 요인으로 인간의 사고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는 글로 이루어져 있다.
▲ 심사평
이번 중학부 논제는 '인간의 자유의지'라는 다소 철학적인 주제다. 인간이 사회 문화 그리고 자신의 육체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가를 생각하는 것은 다소 중학생에게는 난해한 주제가 될 수 있었으나, 다소 추상적인 주제를 배경지식과 독서력을 바탕으로 구체화하며 논술하는 과정에서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은 가치 있는 경험이 되었을 것이다.
대회 참가자는 우선 인간의 자유의지를 부인하거나 제약하는 여러 요소를 제시하는 논제를 극복하여 '인간의 자유의지'를 주장해야 했는데, 그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다. 어떤 글은 제시문에 경도(傾倒)되어 주장이 논제의 제시문에 휘말리는 모습을 보였으며, 어떤 글은 자유 의지의 개념 정의에 혼란을 보기기도 했다. 하지만, 몇몇 뛰어난 글은 제시문의 내용을 나름대로 비판?해석하며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효과적인 논거로 이용하는 멋진 모습을 보였다.
/ 정미영(익산어양중 교사), 김지원(정읍감곡중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