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한다는 취지는 좋지만 도시지역과는 달리 농촌지역에는 교육적으로 활용할 만한 자원이 충분치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육현장에서는 도시지역의 인재풀 활용에 걸맞는 농촌지역 지원모델이 개발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교과부는 19일 영어·수학교육의 내실화와 방과후학교의 질 제고를 골자로 하는 '공교육 강화-사교육 경감 선순환 방안'을 발표했다. 공식과 문제풀이 위주의 수학을 쉽고 재미있는 이야기식으로 바꾸고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영어교육을 실시하겠다는 내용이다. 또 교육관련 사회적 기업을 육성하는 등 모든 학교에 민간참여를 허용해 교육의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그 수준을 높이겠다는 뜻도 담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모델은 다양한 직업과 경력을 가진 인재풀이 풍부하고 각종 시설도 갖추고 있는 도시지역에 적합한 것으로 학원조차 제대로 없는 농촌의 소규모 학교에는 큰 도움이 안될 것이라는 전망이 높다. 더욱이 농촌지역 중고등학교의 경우 지역내 가용 인력풀은 거의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 실정이어서 오히려 소외감만 키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한국교총도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사교육비 경감이라는 목표에 경도되어 방과후학교 운영 전체를 사설 영리기관에 전면 위탁할 경우 학교의 학원화라는 우려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