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訪中> 6자회담 재개 탄력받나

北, 비핵화에 적극적 행보 가능성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20일 중국을 방문함에 따라 북핵 6자회담 재개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9개월만에 이뤄진 김 위원장의 방중은 교착상태인 북핵 정세에 중요한 변수가될 수 있다는 게 외교가의 시각이다.

 

일단 6자회담 재개 흐름이 탄력받을 공산이 크다는 관측이다.

 

북한이 지난달 말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의 방북 이후 침묵을 깨고 외교적 행보에 나선 것이기 때문이다.

 

중국을 비롯한 6자회담 참가국들은 '남북 6자회담 수석대표간 비핵화 회담→북미대화→6자회담'의 3단계안에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첫 단추인 '남북 비핵화회담'부터 난항을 겪고 있다.

 

한국은 북한이 공식적으로 '남북 비핵화 회담'에 답해오면 응한다는 입장이지만정작 북한은 중국과 '3단계 프로세스'에 합의한 4월 중순 이후 한 달 넘게 별다른반응이 없는 상태다.

 

게다가 이달 초 예상됐던 중국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사무 특별대표의 방북도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김 위원장의 방중은 북ㆍ중이 협력관계를 재확인하고 한반도 최대 현안인 핵문제에 대한 입장을 조율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김 위원장과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의 면담 여부가 주목된다.

 

최고 지도자 사이에서 6자회담 재개 방식을 둘러싸고 큰 틀에서 방향이 설정될 개연성이 있기 때문이다.

 

우선 김 위원장이 '남북 비핵화 회담'에 적극적 태도를 보일 수 있다.

 

중국이북한에 대한 경제적 지원 등을 약속하는 대신 북한에 비핵화회담에 적극 나오라고촉구하고 북한이 이에 응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김 위원장이 핵시설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의 상주 허용등 전향적 조치를 꺼내들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한국과 미국 등이 요구하는 '진정성 있는' 비핵화 조치에 호응하는 차원이다.

 

이번 방중이 북한에 대한 미국의 식량지원 결정을 앞두고 이뤄진 점도 눈여겨봐야 한다.

 

미국은 내주로 예상되는 로버트 킹 인권특사의 방북을 계기로 조만간 대북 식량지원 여부를 결정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북한 입장에서도 미국과 대화를 재개하고 원활한 식량지원을 이끌어내려면 유화적 제스처를 취할 필요가 있다.

 

또 김 위원장의 방중 이후 중국도 6자회담 의장국으로서 중재역할을 재개할 것으로 점쳐진다.

 

외교소식통은 "김 위원장의 방중을 계기로 핵문제 논의가 진전되고 미국의 대북식량 지원이 구체적으로 진행될 경우 6자회담 재개의 돌파구가 마련될 수 있다"고내다봤다.

 

다만 대화 국면이 속도를 내려면 '천안함ㆍ연평도 문턱'을 넘어야 한다.

 

한국 정부가 강조하는 천안함ㆍ연평도 사건에 대한 북한의 책임 있는 조치가 없다면 6자회담 재개 흐름에 급격한 변화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반면 한국 정부도 대화국면에서 천안함ㆍ연평도 사건과 북핵 문제의 연계에서전략적 유연성을 좀 더 발휘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북한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에 대한 유엔 안보리 논의를 놓고 북ㆍ중, 한ㆍ미사이에 벌어지는 기싸움도 또 다른 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