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저축은행 PF 사업장 470여곳 전수조사

금융감독원이 98개 저축은행에 대한 하반기 구조조정의 신호탄을 올렸다.

 

금감원은 다음 달부터 이들 저축은행이 대출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470여곳에 대해 전수조사에 나선다고 24일 밝혔다. 점검 결과 부실로 드러난 PF 채권은 구조조정기금을 투입해 사들일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벌써 대형 계열저축은행을 비롯한 몇몇 저축은행이 구조조정 명단에 오를 것이라는 얘기마저 돌고 있다.

 

◆ 470개 PF 사업장에서 부실 도려낸다

 

금감원이 이번에 전수조사하는 저축은행의 PF 사업장은 전국적으로 470여개다.

 

올해 구축한 PF 상시전산감독시스템을 가동, 개별 사업장의 사업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부실이 우려되는 곳은 현장 점검할 계획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저축은행의 PF 대출 잔액은 12조2천억원이다. 대출 연체율이 25%에 달하고 고정이하 여신비율이 9%에 달할 정도로 부실이 심각한 상태였다.

 

특히 98개 저축은행 가운데 증시에 상장됐거나 후순위채권을 발행한 25개 저축은행의 올해 1분기 공시자료를 보면 이들 저축은행은 1100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올해 초 8개 저축은행이 영업정지를 당하고 나서 살아남은 저축은행 중에서도 상당수가 여전히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다는 게 지표로 드러난 셈이다.

 

◆ 저축은행 '하반기 추가 퇴출' 칼바람 부나

 

업계에서는 금감원의 이번 PF 일제점검 과정에서 하반기 구조조정 대상이 될 저축은행이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우선, 당장 캠코에 부실 PF를 할인 매각하는 저축은행들은 손실액을 반영해 충당금을 대규모로 쌓아야 할 판이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뚝 떨어질 수 있어 충당금 부담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전망이다.

 

또 앞으로는 저축은행 대출의 연체를 판단하는 기준이 기존의 3개월에서 2개월로 단축돼 기존에는 정상여신으로 분류됐던 대출이 연체로 분류돼 장부상 부실 규모가 더 커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해 PF 대출이 많은 대형 저축은행 계열을 비롯해 최근 경영 실적이 좋지 않거나 대주주나 모기업의 '평판 리스크'가 노출된 저축은행들이 언급되는 퇴출 명단이 업계에서 회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