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한 통화에서 "제1야당의 핵심이란 분들이 정치적 이익만을 위해 국민을 혼란케하는 근거없는 의혹만 제기하고 있다"면서 "제기한의혹들이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면 어떤 식으로든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민주당 박지원 전 원내대표, 이용섭 대변인, 박선숙 의원을 거명,"이들이 제기한 의혹은 이미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면서 "근거없는 음해를하는 것은 국민의 대표인 국회의원으로서 자격이 없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앞서 박 전 원내대표는 "삼화저축은행이 부산저축은행으로 인수ㆍ합병(M&A)될 때 정진석 정무수석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밝혀야 한다"며 정 수석의 연루 의혹을 제기했고, 이용섭 대변인은 저축은행을 비호하고자 청와대에 청탁하려 했다는 박모 변호사가 정권 실세인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2차관의 친삼촌이라고 주장했다.
또 박선숙 의원은 청와대가 은진수 전 감사위원의 사표를 신속히 수리한 것을지적, 대통령훈령인 '비위공직자 의원면직 처리조항'을 위반했다고 주장했었다.
그러나 청와대에 따르면 부산저축은행은 삼화저축은행을 인수ㆍ합병한 사실이없고, 박모 변호사는 박영준 전 차관과 친족 관계가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또 은 전 감사위원은 정무직 공무원인 만큼 자유롭게 사퇴하거나 해임할 수 있어 의원면직이 필요한 대상이 아니라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기본적인 팩트(사실관계)조차 틀리는 의혹을 제기하는데이를 믿을 국민들이 어디 있겠느냐"면서 "이처럼 도의에 어긋난 정치를 한 것에 대해 책임져야 할 날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이들 3명의 민주당 의원에게 당장 의원직 사퇴를 요구하거나 법적 책임을 묻는 방안은 보류하고 있지만, 여당을 통해 해명과 사과를 요구해놓은 상황이다.
청와대 참모들은 민주당이 '청와대 로비설'을 잇따라 제기하는 배경에 '불순한계산'이 깔렸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이는 저축은행 허가 과정의 불법성,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과정에서의 도덕적 해이 등에 초점이 맞춰져야 할 수사가 본질을 벗어난 현 정권의 핵심 연루 의혹으로 흐르는 것과도 맞닿아 있다는 게 청와대 측의 주장이다.
청와대 내부에서는 저축은행 운영자 중 특정 학맥이 많아 지난 정권의 핵심 인사들이 연루됐을 것이란 예상이 빗나가고 현 정권 인사들의 이름만 나오는 것 역시모종의 탄탄한 '커넥션'이 작용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숨기지 못하고 있다.
한 참모는 "어차피 해야 할 싸움이라면 국회 국정조사를 통해 낱낱이 밝혀지는게 낫다고 본다"면서 "청와대가 앞장서 이번 저축은행 비리 사태의 전말을 국민 앞에 드러내겠다"고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