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위, '5+2 광역경제권' 뿌리 내리기

이달말 광역위·중앙부처 협의체 가동…선도산업·지역인재 개선안 마련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위원장 홍철, 이하 지역위)가 2기 출범에 발맞춰 '5+2 광역경제권'의 내실화를 위한 현안별·권역별 중점과제 다지기에 나선다.

 

지역위는 9일 "5+2 권역별 연계·협력사업의 가속도를 높이기 위해 광역경제권발전위원회(광역위)와 중앙부처가 함께하는 '5+2 광역경제권협의체'를 6월말 부터 가동한다"고 밝혔다. 이와함께 위원회 산하 특별위원회와 전문위원회의 이슈별 재편을 통해 공공기관 지방이전, 포괄보조금제도 개선 등 현안과제에 대한 추진 속도를 높여나가기로 했다.

 

또 선도산업 2단계 방향과 지역인재 양성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지역위를 '일하는 조직'으로 탈바꿈시켜 광역경제권 내실화를 위한 현안별·권역별 중점과제에 대한 점검 및 지원에도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6월말 공식 출범하는 '5+2 광역경제권협의체'는 광역경제권의 정책방향에 대한 핵심사항을 논의하게 되며 중앙부처는 실장급, 시·도는 부지사·부시장급 인사로 구성된다. 지역위는 특히 이 협의체를 통해 발굴된 정책은 중앙부처의 사업계획에 우선 반영하고 예산을 지원하는 등 협의체 운영의 실효성도 확보하기로 했다.

 

핵심 현안별로 재편하는 특별위원회와 전문위원회는 6개 특별위원회(△공공기관 지방이전 △포괄보조금 △지역산업 활성화 △지역인재양성 △도시활력 △백두대간)와 4개 전문위원회(△연계협력 △창조지역 △지역경제 △정책기획)로 세분해 주요 이슈에 대한 성과 창출을 앞당길 계획이다.

 

지역위는 또 최근 이명박 대통령이 특별히 강조한 30대 선도 프로젝트에 대한 추진 속도를 높이기 위해 '30대 선도사업 점검단'을 구성해 구체화에 나선다.

 

광역경제권 중심의 선도산업과 지역인재 양성을 위한 대책 마련은 지식경제부와 교육과학기술부가 맡게 된다.

 

지경부는 전략산업과 선도산업을 광역경제권 중심으로 통합 재편해 지역의 미래 성장동력과 주력산업의 균형발전을 도모하는 한편 지역의 일자리 창출을 핵심으로 하는 고용창출형 산업육성 등 지역산업 지원체제 개편에 돌입한다.

 

또 교과부는 지역에 머물며 지역발전을 견인할 지역착근형 인재양성을 위해 산학협력을 통한 지역산업의 맞춤형 인력양성 및 적기 공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광역 인재양성사업 등 기존 산학협력 인력양성사업을 통합·개편한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으로 지역대학과 지역산업이 동반 성장하는 선순환구조를 확립해 실질적인 지역발전을 견인한다.

 

지역위는 이와 함께 지방현장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인력을 충원하고 광역경제권의 연계협력 사업을 관장할 연계협력국을 신설, 조직역량을 핵심과제에 집중하는 조직개편을 통해 '일하는 조직'으로 거듭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