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은행이 발표한 각종 통계를 보면 가계와 개인부채는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여기에 은행권 주택담보 대출금리가 2년5개월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으면서 서민들은 눈덩이처럼 불어난 이자 부담에 한숨만 나오는 상황이다.
19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이번 주 양도성예금증서(CD) 연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연 5.27~6.57%로 고시해 지난주보다 0.10%포인트 인상했다.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의 주택대출 금리도 20일 현재 4.86~6.30%와 5.16~6.56%로 지난주 초보다 각각 0.07%포인트 상승했다.
이런 가운데 올해 1분기 개인 금융부채는 사상 처음으로 1천조원을 돌파한 1천6조6천억원을 기록했다.
또 가계대출과 판매신용을 합한 가계신용은 올해 1분기 801조4천억원으로 사상 처음 800조원을 넘어섰다.
더욱이 최근의 가계부채는 원금상환이 없는 대출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금리 인상 시 가계가 심각하게 흔들릴 수도 있다.
한은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원금상환 없이 이자만 내는 대출 비율은 78.4%에 달했다.
김중수 한은 총재가 최근 참석한 여러 모임에서 가계부채 문제를 언급하는 것도 그만큼 상황이 심각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김 총재는 지난 14일 대기업 최고경영자(CEO)와 만난 자리에서 "기업이든 국가든 개인이든 동서고금 빚이 많으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또 17일에는 은행장들과 만나 가계부채 문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시기가 됐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