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문제 토론·합의 민간기구 만들자"

취임 1년 진보교육감 6명 '교육혁신 공동선언문'

김승환 전북교육감을 포함한 6개 지역 진보교육감들이 교육혁신을 위한 사회적 대토론과 합의를 위한 민간기구인 가칭 '국가교육위원회' 구성을 제안했다.

 

전북과 경기(김상곤), 광주(장휘국), 서울(곽노현), 전남(장만채), 강원(민병희) 6개 시·도 교육감은 30일 서울교육청에서 취임 1주년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여야가 바뀌고, 정치가 바뀌어도 큰 원칙은 일관되게 유지될 수 있는 교육희망의 청사진을 그려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교육은 우리의 미래이자, 우리의 삶이며, 우리의 운명"이라고 들고 "교육의 대전환을 위해 국민들이 힘과 지혜를 모아달라"며 교육혁신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진보교육감들은 공동선언문에서 "우리 아이들은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에 행복을 저당잡힌 채 오로지 대학입시를 위한 선행학습과 단답형 문제풀이만을 반복하고 있다"며 "어리석은 교육은 이제 그만두고 공동체의 1백년을 내다보는 새로운 공교육의 표준을 정립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 "창의·인성교육을 막는 대학입시 제도를 근본적으로 바꿔 초·중등 교육을 정상화해야 하며, 교육재정을 더욱 확충하고 공정하게 배분해서 공교육의 질을 높여야 한다 "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지난 1년 동안 교육자치를 발목 잡는 중앙집권적 제도와 관행에 맞서 힘겨운 싸움을 해야 했다"며 "이제는 수직적 거버넌스가 아닌 수평적 거버넌스로 선생님들과 학생, 학부모가 공교육의 명실상부한 주인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진보교육감들은 이와함께 "보편적 교육복지는 사회 구성원 모두가 누려야 할 공통의 권리인 만큼 보편적 교육복지로 교육양극화를 탈피해 행복한 교실을 만들어야 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