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교육청은 이날 이 과정에서 교과부의 시행지침을 일선 학교에 시달해달라는 교과부의 3차례 공문을 모두 거부함으로써 향후 이에대한 책임 논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전북도교육청에 따르면 2011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미응시자는 초등 368명, 중학교 448명, 고교 354명 등 모두 1170명으로 시험당일 교과부 NIES망을 통해 집계된 도내 미응시자수 32명과 큰 차이가 있다.
이처럼 도내 교육계가 시험 미응시자 숫자를 놓고 큰 혼란을 겪고 있는 것은 전북도교육청이 시험 당일 오전 10시께 별도의 공문을 보내 교과부가 지시한 NIES의 학급별 응시현황 통계표를 제출하지 말도록 지시했기 때문이다. 공문을 받기 이전에 응시현황을 보고한 일부 학교를 제외하고는 모두 교과부의 NIES보고를 거부하게 된 것. 도교육청은 대신에 자체 공문형식에 따라 미응시생을 파악해 다음날 교과부에 제출했다.
그러나 도교육청의 미응시생 현황은 응시대상자와 비대상자를 마구 섞어 놓고 장기무단결석자와 무단결석자를 포함시키는 등 교과부의 의도와 다른 것이어서 도교육청이 사실상 교과부의 응시현황 집계를 방해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에대해 교과부 관계자는 "일부 학교의 문의전화를 받고나서 도교육청의 '뒤퉁수 때리기'를 알게 됐다"고 들고 "교과부의 시행지침을 다시 전달할 수 있도록 협조공문과 이행촉구 공문에 이어 직무이행명령까지 내렸지만 끝내 거부했다"며 "학교현장 조사를 거쳐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자료는 필요한 기관에서 요청한 형식에 따라 보고해야 하는데, 전북교육청의 문서는 도대체 무슨 의미인지 알기 어렵다"며 "정확한 응시생과 결시생수 등을 파악하기 위해 15일까지 교과부 양식에 맞춰 보고해줄 것을 요청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