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훈 진북문화의집 관장은 "진북문화의집이 전주 중앙시장 노송천 일대에 문화공간을 만드는 특성화사업'노송천 문화 만들기'를 추진하고 있는데, '진북'이 붙다 보니 다른 지역은 포함되지 않아 사업의 영역이 축소되는 듯한 인상을 준다"고 설명했다.
김현갑 인후문화의집 관장도 "인후문화의집은 마을의 스토리텔링 위주 사업을 해오다 보니, '왜망실', '기린', '명주골' 등 지역적 특색이 반영되면 주민들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취지"라고 덧붙였다.
이날 삼천문화의집(관장 이수영)은 '삼천'의 한글말인 '세내', 인후문화의집은 임진왜란 때부터 구전되어온 '왜망실'이나 '인후'가 상징하는 '기린', 진북문화의집은 이 일대에 있었던 솔숲을 고려한 '숲정이' 등이 검토됐다. 효자문화의집(관장 강현정)과 우아문화의집(관장 최경성)도 이름 바꾸기 필요성은 공감하면서 적당한 이름 찾기에 골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