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가 '영화·영상 촬영 1번지'로 거듭나려면, 영화·영상물을 찍기 위한 원스톱 서비스가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영화 '부당거래', '평양성', 드라마 '제빵왕 김탁구' 등 지난해 도내에서 촬영된 영화·영상물은 총 43편. 영화·영상 제작자들은 전주영상위원회가 운영하고 있는 전주종합촬영소에서 촬영하고, 음향 편집·색 보정 등 후반 작업은 전주정보영상진흥원에서 하다 보니 불편한 데다 영화·영상물 유출 가능성으로 인해 일원화된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전주정보영상진흥원은 지난해 36억을 들여 영화의 음향이나 목소리 등 잡음을 보정하는 후반 시설인 음향 마스터링 스튜디오와 함께 디지털 영상마스터링 센터를 갖췄다. 하지만 전주정보영상진흥원이 사용할 영화·영상 제작자들의 편의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후반작업 시설을 마련하다 보니, 사용료가 저렴하다 하더라도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 영화인은 "전주정보영상진흥원의 후반 작업 시설에 대한 새로운 고민이 요구되는 시점"이라며 "차라리 전주영화종합촬영소를 관리하는 전주영상위에 후반작업 시설을 넘겨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하게 해야한다"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전주정보영상진흥원이 지역 영화인들에게 사용료를 50% 감면해주고 있으나, 저예산 독립 영화인들에게는 여전히 문턱이 높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일부 영화인들은 "어차피 이 시설로 대규모 상업 영화 유치는 어렵다"며 "'영화·영상 도시, 전주'의 경쟁력은 전주국제영화제 개최와 영화 촬영 유치인 만큼, 지역 영화인들을 위한 기반 시설로서 의미를 두는 게 더 낫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전주정보영상진흥원은 "이곳이 도내 독립영화인만을 대상으로 하는 시설이 아니다"고 강조하면서 "다만 후반 작업은 아무래도 사용자(영화·영상 제작자)가 편리하게 쓸수 있도록 하는게 중요한 만큼 원스톱 지원이 가능하도록 방법을 찾겠다"고 말했다.
한편, 영화진흥위원회가 올해 하반기부터 독립영화의 현상, 녹음, 디지털 작업 등 후반 작업을 무상으로 지원하면서 전주정보영상진흥원의 후반 작업 시설 활용도는 크게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