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군애향운동본부 김용붕 본부장은"무주리조트의 명칭을 부영덕유산리조트로 일방적으로 변경한 것은 무주군민의 정서를 무시한 처사"라며"이를 부영측에 강력한 메시지로 전달해야 하는 시점에 온 것 같다"고 밝혔다.
또한 무주군 이장협의회 박래평 이장은"대책위를 구성해 군민들의 뜻을 공문으로 발송하고 항의 방문하는 등의 구체적인 움직임이 필요하다"며"그래도 무주리조트로 명칭이 환원되지 않는다면 2만5000여 무주군민들의 서명을 받아 본사에 직접 전달하자"고 강조했다.
송종엽 법무사는"개인 회사의 명칭은 회사의 권한이라고 할 수 있지만 무주리조트의 경우는 보편적 상법에서 판단하는 것과는 달라야 한다"면서"이는 무주리조트가 그간 지역의 가장 가까운 파트너이자 지역발전과 아주 밀접한 관계로 존재해 왔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동계유니버시아드와 아셈재무차관회의 등이 치러진 곳이자 평창 동계올림픽과의 분산개최가 논의되고 있는 시점에서 보면 무주리조트로의 환원은 당연한 일"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무주군 사회단체장들은 조만간 대책위를 구성하고 군민 서명운동을 벌이는 등 무주리조트 명칭 환원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어서 향후 행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무주리조트는 지난 1990년도에 설립된 이래 1997년 동계유니버시아드와 2007년 아셈재무차관회의 등 대규모 국내·외 행사 개최지로 이름을 알리며 20여년간 무주의 상징이 됐다. 그러나 무주리조트를 인수한 (주)부영측이 올 4월 일방적으로 명칭을 부영덕유산리조트로 변경하면서 무주군민들의 원성으로 사고 있다.
이와 관련 무주군은 (주)부영 본사측에 유감의 뜻을 밝히며 무주리조트로의 명칭 환원을 요청한 바 있으며, 무주군의회에서도 이달 22일 제209회 제1차 정례회에서 결의문을 채택해 (주)부영 측에 내용을 전달했다.
홍낙표 무주군수는 "지역의 현안들은 모두 무주발전을 위한 몸부림"이라며"그 중심에 사회단체가 있는 만큼 지역의 발전, 군민의 행복을 위해 다함께 노력해보자"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