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3년만에 국내 금융시장이 또다시 대혼란에 빠졌다.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이 견고하다는 평가에도 미국 신용등급 강등에 따른 투자자들의 불안심리가 고조되면서 코스피는 큰 폭으로 하락해 이틀 연속 사이드카가 발동됐고 환율은 1090원선까지 치고 올라왔다.
정부와 금융당국, 한국은행은 각각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이번 사태를 예의주시하면서 불안심리가 더욱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나 시장의 동요를 당장 잠재우기는 역부족으로 보인다.
▲ 혼란에 빠진 국내 금융시장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 여진이 이틀째 국내 금융시장을 흔들었다.
9일 1807.88로 개장한 코스피는 장이 열리자마자 큰 폭으로 하락하며 결국 1800선을 지탱하지 못하고 무너졌고, 환율은 급등해 1090선으로 치솟았다.
국가의 부도위험을 나타내는 한국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지난 8일 기준 135bp로 하루만에 18bp(1bp=0.01%)가 급등하면서 1년2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발(發) 재정불안으로 은행들의 차입여건은 나빠지면서 하나, 국민, 신한, 우리, 기업, 산업, 수출입은행 등 주요 7개 은행의 CDS 프리미엄 평균은 5일 140.0bp에서 8일 142.9bp로 상승했다. 2010년 11월30일(143.2bp) 이후 최고치다.
그러나 너무 비관적으로만 보기는 이르다.
민간 금융부문의 '버블'(거품)이 실물 부문에 영향을 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는 달리 지금은 미국과 유럽의 국가부채 문제와 실물 부문이 금융에 영향을 주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또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 비해 외환보유액이 크게 증가했고 채무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인 단기 채무 비중이 낮아진 점 등은 이번 태풍에 우리 경제가 버틸 수 있는 지지대가 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 경제가 지나치게 수출 위주로 돌아가는 데다 국내 주식시장의 외국인 투자 비중이 높은 점은 여전히 대외 변수에 취약한 요인으로 꼽힌다.
▲ 환율 급등 계속될까
시장이 너무 과민반응하고 있다는 금융당국의 지적에도 이 같은 움직임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전 세계 금융시장에 엄습한 공포감이 확산한 탓에 시장 상황이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양상으로 악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2일부터 9일까지 6거래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 기간 환율은 1050.50원에서 1090원대로 40원가량 올랐다. 하루 평균 6.6원 이상 오른 셈이다.
전문가들은 환율이 당분간 급등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발 충격 이후 국제 금융시장에서 안전자산(달러, 금)에 대한 투자자들의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에 서울환시에서도 달러 수요(매수)가 꾸준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환율이 추세 상승쪽으로 가진 않을 것이란 분석도 만만치 않다.
미 등급 강등은 결국 달러 가치 하락을 뜻하는 것이고, 미 당국이 경기 부양을 위해 3차 양적완화 카드를 꺼내 든다면 이 역시 달러 공급을 의미하는 것으로 글로벌 달러가치 하락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다.
▲ 글로벌 금융위기 재현되나
미국 신용등급 강등 후폭풍이 국내 금융시장을 강타하면서 또다시 글로벌 위기가 몰아치는 것이 아니냐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1997년 외환위기 혹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는 그 원인이나 진행방식이 전혀 다르다는 것이 중론이다.
외환위기가 한국, 태국,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한 국지적 위기였다면 글로벌 금융위기나 현 상황은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위기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 글로벌 금융위기와 현재는 비교하자면 글로벌 금융위기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로 인한 월가(街) 대형 투자은행들의 파산을 시발점으로 민감 금융부문의 버블(거품)이 실물부문에 영향을 준 반면 지금은 미국과 유럽의 국가부채 문제나 실물지표의 둔화가 금융에 영향을 주는 구조다.
우리나라가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단기외채 비중을 줄이고 외환보유액을 충실히 쌓아온 점도 이번 사태를 버틸 수 있는 지지대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리먼 사태 직전인 2008년 8월말 2432억달러에서 지난 7월말 3110억달러로 27.9% 늘었다. 1997년 말 204억달러와 비교하면 무려 15배 넘게 올랐다.
총외채 대비 단기외채 비중은 2008년 9월말 51.9%에서 지난 3월말 38.4%로 개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