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시문에 대한 이해 분석력
논제와 제시문은 비판적으로 읽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논리적인 논지의 내용을 보여주어야 한다. 학생은 '자료 2와 3을 공간을 비교 분석'한 다음, '자료 (3)의 외래문화 공간에 대한 역기능'에 대해 논지를 잘 전개하여, 논제와 제시문의 분석을 잘하였다.
▲창의적 사고력(비판력, 참신성)
수학교과의 기하와 벡터 과목에 '공간 좌표'의 단원 내용은 조화롭지 못한 측면도 있지만, 아주 참신한 표현이다. 또한 국어 교과의 '황소개구리와 우리 말'에 대한 내용도 좋다. 최근 대학의 논술에서 요구하는 통합 교과 논술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어서 아주 좋다.
▲문제 해결력
명제를 논리 정연하게 제시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번 논제의 쟁점은 '장소의 기능과 경관 인식의 차이'이다. 즉, '우리 전통문화와 외래문화 장소의 기능과 경관의 차이'를 주장하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우리 전통문화를 살리면서 외래문화를 주체적으로 수용해야'로 잘 주장하였다.
▲문장력 및 표현력
문장은 자연스럽고 매끄러우며 비문이나 오류가 없어야 한다. 또한 적절한 어휘를 선택하여 논술해야 하며, 문법과 맞춤법에도 유의해야 한다. 그런 다음 전체 내용을 스스로 퇴고하고 첨삭하여 좋은 글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전체적으로 아주 좋은 논술이다.
/ 정용복 (익산 원광고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