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의 후보군을 놓고 여전히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정 철학의 이해도, 전관예우 문제, 지역 안배, 국민 여론 등을 두루 고려하다 보니 후보마다 각각의 강점과 약점이 혼재해 임기말을 함께 할 적임지가 누구인지 선뜻 판단을 내리기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한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17일 "오는 21~26일 예정된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 이후로 민정수석 인선이 늦춰질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말했다.
다른 핵심 참모는 민정수석 인선의 어려움에 대해 "처음엔 100m 달리기인 줄 알았는데 막상 뛰어 보니 110m 허들"이라고 표현했다.
예상치 못했던 장애물이 많다는 얘기다.
현재 후보군에는 노환균 법무연수원장(사법연수원 14기.경북), 차동민 전 서울고검장(13기.경기), 김회선 전 국가정보원 2차장(10기.경북), 정진영 전 인천지검장(13기.대구), 박용석 전 대검찰청 차장검사(13기.경북), 조근호 전 법무연수원장(13기.부산), 황교안(13기.서울) 전 부산고검장 등 전현직 검찰 간부들이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거론되고 있다.
유력한 후보였던 차동민 전 서울고검장은 여전히 고사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김회선 전 국정원 2차장 또는 정진영 전 지검장의 낙점 가능성도 여러차례 거론됐지만 두 사람 모두 초대형 로펌인 '김&장 법률사무소' 근무 경력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전언이다.
정동기 전 민정수석이 감사원장 후보자로 지명됐다가 '전관예우' 논란에 부딪혀 낙마한 점은 여전히 '트라우마'로 남아있다고 한다.
노환균 법무연수원장의 경우 이번 검찰간부 인사를 통해 대구고검장에서 수평이동했지만, 민정수석 후보군에는 여전히 남아있다고 주요 참모들이 전했다.
한 참모는 "검찰 인사가 났다고 해도 노 원장이 현직인 점은 동일하다"면서 "꼭 필요하다면 데려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