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 전북지역본부(본부장 장길호)가 최근 도내 27개 대기업의 협력 중소기업 400개 업체를 대상으로 '전북지역 대기업 협력거래 중소기업의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납품단가 변화없음'이란 응답이 66.9%를 차지했고 '개선됐다'는 응답은 20.8%에 불과했다.
실제로 대기업과의 금년 납품단가 협상 결과에 대해 조사업체의 10.1%만이 '전년보다 상승' 했고, 12.1%는 '하락', 77.8%는 '전년수준 유지(동일)' 라고 응답했으며, 납품단가 하락율(9.0%)이 상승률(6.9%) 보다 높았다.
협력 중소기업들은 '납품대금 결제'(63.5%)와 '납품물량 발주'(50.3%) 만이 대기업과 상생협력이 잘 이루어지고 있고, 24.0%는 '잘 되는 분야가 없다'고 응답했으며, '납품단가 조정'(5.6%)을 비롯 '공동 기술개발'(3.3%), '경영컨설팅'(2.3%), '직무교육'(7.9%), '성과공유'(2.6%) 등은 매우 미흡하다고 응답해, 상생협력을 위해 풀어나갈 숙제로 나타났다.
또한 협력업체들은 대기업에 대해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위한 협력업체 지원사항으로 조사업체 10개중 8.5개(84.9%) 업체가 '납품단가 현실화(연동제)'를 가장 희망했다.
정부에 대해서는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위한 중점 추진 정책과제로 62.9%가 '원자재가격 안정 및 원활한 확보 지원'을 최우선으로 꼽았다.
장길호 본부장은 "도내 대기업 협력업체들은 동반성장대책 추진에도 불구하고 원자재 조달가격 및 필요인력 확보가 정상수준이라고 응답한 업체가 50%미만이고, 조사업체의 19.1%만이 동반성장 추진대책이 기업현장에서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며 "동반성장 대책에 현장의 목소리가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점검·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