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계에는 돈 한 푼 못 벌어도 영화판을 떠나지 못하는 '낭인'이 가득하고 신춘문예와 각종 장편 공모에 매달리는 작가 지망생은 숫자가 줄어들 줄 모른다.
문화로 먹고살기를 원하는 젊은 세대가 그만큼 많다는 것이다.
'88만원 세대'의 저자인 경제학자 우석훈 씨의 새 책 '문화로 먹고살기'(반비펴냄)는 이 같은 상황 진단에서 출발한다.
우씨는 "한국의 많은 젊은이들이 그 어느 때보다 강렬하게 문화 소비자가 아니라 문화 생산자나 기획자로 살고 싶어한다"며 "문화 부문에서 더도 말고 지금보다 딱 두 배만 더 많이 고용할 수 있다면 한국을 지배하는 토건 경제의 문제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고, 다음 세대 일자리 문제도 실마리를 잡을 수 있다"고 말한다.
흥행 여부에 집착하는 영화감독이나 판매부수에 연연하는 작가는 덜 '문화적'인것으로 여겨진다.
문화ㆍ예술을 돈과 결부시키는 것은 불경스럽게까지 생각되기도 한다.
그러나 경제학자가 쓴 이 책은 문화를 철저히 '숫자'로 분석한다.
저자는 방송과 출판, 영화, 음악, 스포츠 등의 분야별로 한국의 문화산업이 처한 현실을 냉철하게 짚어보며 문화로 먹고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가령 TV 드라마와 관련해 획일적인 스토리와 낮은 완성도, 현장 제작자들의 열악한 처우를 개선할 대안으로 보조금을 제안한다.
드라마와 같이 상업적이고 수익성이 좋은 분야에 굳이 보조금을 줄 필요가 있느냐는 반론에 대비해서는 문화다양성, 지역 드라마, 청년 고용 지원이라는 문화 공공성 명목을 제시한다.
특히 "지역 드라마 이야기는 서울의 중앙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 담론을 끌어낸다"며 "부산 청년의 가슴 떨리는 사랑, 울산 노동자의 일상적 삶, 광주 아저씨의 좌절과 극복, 그런 이야기도 보고 싶다"고 말한다.
열악한 영화 시장의 체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뒤에서 5등'인 고등학생들에게 카메라를 쥐어준다는 흥미로운 방안을 내놓는다.
공부와 담쌓은 아이들에게 교육과 지역 예산으로 장비를 지원하고 학생들에게 단편영화 한두 편을 만들게 한다면 교육적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고 영화계에 좋은 인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우씨는 "누구나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당당하게 선택할 수 있고, 또 그 선택이 비참한 경제적 고통으로 귀결되지 않는 경제, 그것이 바로 우리가 가야 할 방향이고, 그 수단 중의 하나가 문화경제일 것"이라고 말했다.
'즐기면서 돈도 벌기'라는 이상적인 개념이 지극히 현실적인 대안과 함께 제시된 이 책은 우리나라 문화산업의 오늘과 내일을 폭넓게 들여다볼 수 있는 책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