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 논의 '파행'

기념일 제정 추진위 활동 중단 놓고 논란…정읍지역 단체 등 편향성 제기

지난 27일 정읍시 덕천면 동학농민혁명기념관에 비공개 회의가 열린 가운데 정읍지역 동학관련 단체 회원들이 회의장 진입을 시도했다. (desk@jjan.kr)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지정을 두고 논란이 재점화됐다. 전주시, 정읍시, 고창군, 공주시 등 각 지역 동학기념 단체들이 서로 자기 지역에서 일어났던 사건을 기념일을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고창 무장기포(4월 25일)와 정읍 황토현 전승(5월 11일)이 유력하게 검토됐지만 고창·정읍지역의 동학단체들은 이를 두고 기싸움을 벌이고 있다. 이에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은 지난 2004년'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등의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공포된 3월5일로 중재안을 내놓았으나 합의는 미지수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이사장 김영석)이 27일 정읍시 덕천면 동학농민혁명기념관 제1회의실에서 비공개로 열린'동학농민혁명기념일 제정 추진위원회 3차회의'에서 국가기념일 제정을 위해 구성된 추진위원회의 활동중단을 공식화하고 나서 기념일 제정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본보 24일자 9면)

 

복수의 위원들에 따르면 이날 A위원의 재단측 입장을 묻는 질문에 재단의 이용이 사무처장이 "추진위원회의 활동이 공정성과 객관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기 때문에 활동을 중지하는 것이 좋겠다"고 공식적으로 제기했다.

 

이어 B위원은 "추진위원회의 활동 중지를 요구하는 동학관련 단체들의 주장에 대해 객관적 입장에서 전 국민이 공감하는 날로 정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하며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6월부터 전국 14개 지역 동학기념사업회와 동학유족회, 정읍동학농민혁명계승사업회, 정읍시 등에서 추진위원회 일부 위원들의 특정지역 편향성과 공정성 등에 문제를 제기하며 활동중지를 요구하고 있다.

 

이날 3차회의에서는 23명의 위원중 14명이 참석해 추진위원회 활동에 대한 최근의 논란에 대해 논의했으며, 이 과정에서 일부 위원들이 재단측의 활동중지 공식화에 반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회의 종료 후 신순철 추진위원장은 "그동안 제기된 문제들을 재단측과 협의해서 차후에 일정을 정하겠다"며 "특히 활동중단 논의는 없었고 중단은 추진위원회가 결정할 사안이다"고 강조해 재단측과 이견을 보였다.

 

이 같은 일부 추진위원들의 반발에 대해 활동중단을 요구하는 동학관련단체들은 재단의 자문기구에 불과한 추진위원회가 역할을 과신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재단측도 "추진위원회는 자문기구로서 수렴된 의견을 건의만 하면 된다"며 분명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한 위원은 "추진위원회의 특정 지역 편향성 논란은 위원들이 자초한 측면이 큰 만큼 재단의 결정이 타당성이 있다"며 "일부 추진위원들의 반발 이유가 또 다른 오해를 불러올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한편 이날 추진위원회가 '비공개 회의를 하겠다'며 취재기자와 동학관련단체회원들의 방청을 불허해 회의장을 찾은 40여명 동학관련단체회원들의 강력한 반발을 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