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에 재정 지원을 제한하거나 학자금대출을 제한하기로 최근 결정한 '평가 하위 사립대학'들이 고강도 자구 노력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이들 대학은 일부 평가지표가 개별 대학의 사정과 특수성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불만을 표출하면서도 이번 기회를 구조조정의 계기로 삼아 내년에는 '하위그룹'을 벗어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학들이 내놓은 방안은 크게 재원 추가투자, 입학정원 감축 두가지다.
여기에조직 개편, 교수 충원 등의 기타 방안들도 쏟아졌다.
15일 각 대학에 따르면 경남대는 300억원 이상의 재정을 추가 투입해 2∼3년 이내에 교육지표와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로 했다.
또 정부 재정지원 제한에 따른 학생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신입생 전원에게 보전장학금 지급, 전체 학생장학금수혜율 50% 확대, 우수 교수진 확보도 추진키로 했다.
총장이 사임한 한국국제대는 향후 5년간 50억원의 장학기금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부총장 영입을 통한 학교발전기금 1천억원 조성 목표도 세웠다.
목원대는 교직원 복지를 삭감해 100억원인 장학금을 157억원으로 확충할 방침이다.
일단 정원을 감축해 몸집을 줄이고 내실을 다지겠다는 대학들도 많다.
관동대는2015년까지 입학정원 500명 감축 계획을 밝혔으며 루터대는 2012학년도 입학정원을100명 줄일 방침이다.
원광대도 2013학년도 입학정원 380명 감축 방침을 세웠다.
또 신입생 학자금 보전제도를 시행하고 '스타 교수'와 현장경력 교수진을 대폭 충원해 교육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일부 대학은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추진하는 한편 교수 충원율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방침을 세우고 구체적인 실행방안 마련에 착수했다.
목원대는 내년까지 교수 65명 이상을 충원하기로 했으며 대전대는 조직 개편과 교수 충원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평택대도 전면적 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대불대는 2012학년도 신입생 전원에게 보전장학금을 지급하고 건실한 재정 운용과 재단의 적극적 지원을 학생들에게 약속했다.
한편 이주호 교과부 장관은 대학 평가가 발표된 직후 고강도 자구 계획을 수립하고 적극 추진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원광대를 이날 오후 방문, 보직교수 간담회를 갖고 학생과 교직원을 대상으로 특강을 했다.
교과부는 학자금 대출제한 대학이 된데 반발해 교수 전원이 사퇴를 결의한 추계예술대 등에 대해선 "예술계 종사자가 취업자 통계에 잡히지 않는 등 일부 불이익은 있을 수 있지만 다른 지표들도 전반적으로 개선할 여지가 많다"는 입장이다.
교과부 관계자는 또 대학 소재지에 따른 유불리 등 평가 결과에 대한 여러 논란과 이의 제기에 대해 "현재로서는 평가결과를 수정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재정지원 제한대학 선정 등 대학 평가의 근본적인 목적은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라며 "잘 하려는 대학은 컨설팅 등을 통해 적극 지원하고 구조 개혁을 장기적으로 일관성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